비대면 금융거래 확산으로 전북 지역 은행 점포가 10여년 전보다 4분의 1가량 문을 닫아 도민들의 금융 서비스 이용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고령인구가 밀집한 농촌지역의 금융 소외 현상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13일 한국은행 전북본부에 따르면 도내 일반은행(시중은행, 지방은행, 외국은행 국내지점 포함) 점포는 2011년 149개소에서 2023년 114개소로 35개(23.4%)가 감소했다. 한은 전북본부는 2024년에도 점포 수가 줄어들며, 이러한 감소세는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도별로는 2012년 152개로 일시적으로 증가했다가 2013년 147개를 기점으로 하락세로 전환됐다. 이후 2014년 139개, 2015년 140개, 2016년 138개를 유지하다 2017년 129개로 급감했다.
2018년 128개, 2019년 131개로 소폭의 증감을 보였으나, 2020년 128개, 2021년 125개, 2022년 117개로 감소 폭이 확대됐다. 특히 2019년 이후 4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해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된 비대면 금융거래가 점포 축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기업·농협·수협·산업은행 등 특수은행의 경우 같은 기간 2011년 67개에서 2023년 68개로 큰 변동이 없었다.
도내 한 은행 전 지점장은 "인터넷과 스마트뱅킹 발달로 대면 거래 이용객이 줄면서 점포 수도 감소하고 있다"면서 "예를 들어 한 지점에서 20명이 하던 일을 10명이 처리하는 등 전반적으로 지점 직원 수도 줄어드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도내 은행권 한 관계자는 "점포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번호표를 통해 방문객들이 줄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생산성과 내점 고객 수, 점포 간 거리, 지역 여건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 폐점 점포를 선정한다"고 귀띔했다.
농촌지역의 금융 접근성 문제는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국내은행 점포 분포에 대한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 지역의 24.85%가 은행 접근성 '상위 10%'(이동거리가 긴 취약지역)에 속했다.
전주·익산·군산 등 도시권은 은행까지 거리가 1km를 넘지 않는 반면, 정읍·남원·완주·진안·임실·순창·부안 등은 15~20km, 무주·장수 등은 20~25km에 달했다. 특히 무주군의 경우 최대 22.9km로, 주민들이 은행을 이용하려면 왕복 40~50km를 이동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금융당국은 오는 6월부터 일부 우체국에서 시중은행의 예·적금 관련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는 스마트폰 뱅킹 등 비대면 거래 확산으로 은행 점포가 줄어들면서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이 제한되고 있다는 우려에 따른 조치다.
앞서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지난 8일 2025년 업무계획 브리핑에서 "은행 점포 폐쇄 등에 대응해 은행대리업은 올해 확실히 도입하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우체국의 은행 업무 대체를 두고 반응이 엇갈린다.
도심 외곽이나 농어촌 지역의 경우 기존 은행 지점과 거리가 멀어 불편을 겪던 주민들이 가까운 우체국에서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거래를 처리하는 등 지리적 접근성이 향상됐다는 평가다.
반면 대출이나 신탁, 펀드 등 복잡한 금융상품 취급은 어려워 전문적인 금융 서비스 제공이 제한적이며, 우체국의 은행 업무 대체가 오히려 은행의 지점 폐쇄를 가속화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