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지역에서도 텃새화된 민물가마우지 관련 피해 사례가 잇따라 보고되면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민물가마우지는 사다새목 가마우지과에 속하는 겨울 철새로, 국내에서는 해안, 하구, 강, 호수 등에서 월동한다. 이들은 잠수를 통해 물고기를 사냥하며, 하루 700g 정도 물고기를 먹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몇 년 사이 기후변화와 천적의 부재로 텃새화가 진행되며 국내 상주 개체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생물자원관 철새지리정보포털 기준 지난 2월 전북 지역에는 민물가마우지 4829 마리가 서식하고 있었다. 이에 환경부는 2023년 민물가마우지를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해 사유재산에 피해를 주는 경우 포획할 수 있도록 했다.
전북 내수면 어업, 양식 종사자들은 텃새화된 민물가마우지들이 많은 양의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어업 활동이 어려워졌다고 지적했다.
진안군 어업계 연합회 관계자는 “최근 몇 년 사이 민물가마우지의 먹이 활동 등이 활발해지긴 했다”며 “특히 상류 쪽은 이들이 무리를 만들어 몰려다니면서 물고기를 다 잡아먹기 때문에 내수면 어로행위를 하는 어부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한국내수면양식단체연합회 관계자는 “전북 지역에서도 김제 등에서 어류 양식을 하시는 분들이 민물가마우지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민물가마우지가 양식장을 먹이가 있는 곳으로 인식하고 꾸준히 근처 서식지에서 날아와 어종도 가리지 않고 물고기를 마구 사냥하는데, 양식장이 넓다 보니 그물을 덮는 것도 한계가 있어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진안군 용담댐, 구량천, 가막리 일대에서 민물가마우지로 인한 어류 피해가 보고되고 있었다. 아울러 완주, 고창 등에서는 양식업자들이 민물가마우지로 인한 피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내수면 어업 종사자들뿐만 아니라 서식지 인근 숲에도 민물가마우지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한국생태연구원 유재권 박사는 “민물가마우지가 몇백, 몇천 단위로 몰려다니며 분비물을 발생시키니 소나무들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며 “가마우지 분변으로 인해 군산 은파 유원지 등 민물가마우지 서식지 근처 소나무에 백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백화 현상은 철새 배설물 등으로 인해 나무가 하얗게 변하는 현상으로, 도내 임실과 군산 등에서 관련 피해가 보고됐다. 전남 여수 상증도는 나무 뿐만 아니라 섬 전체가 민물가마우지 배설물에 뒤덮여 백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렇듯 민물가마우지 관련 피해 사례가 잇따라 보고되자 전북자치도도 대응에 나섰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민물가마우지가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되면서 도내 각 시군에서 유해조수 방지단을 운영, 여건상 가능한 지역에서는 포획을 진행하고 있다”며 “현재 전북은 기본적으로 총포 사용보다는 알 제거 작업 등을 통해 민물가마우지 개체 수를 조절하려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생태계 균형을 고려해 공존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는 전북에 서식하는 민물가마우지의 정확한 생태 파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경희대학교 산하 한국조류연구소 관계자는 “지역마다 식생도 다르고 환경도 다르기에 섣불리 구제, 보호, 서식지 이동 등의 대응 방법을 전북에도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전북에 맞는 제대로 된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 1년 이상의 관찰과 연구를 통해 전북 지역 민물가마우지 개체군의 생태와 서식 환경, 숫자 등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전문가 협의나 R&D 용역을 통해 지역 실상에 맞는 대응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