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인구감소지역) 체류인구(24시간 이상 머무는 사람) 비율 증가
50%은 당일치기, 체류일수 감소세, 숙박은 전국 평균 못미쳐
지갑도 쉽게 열리지 않아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제한
"인구감소지역의 관광 약세는 지역 불균형 심화 요인 작용 우려"
전북이 단순한 '경유지'에서 '목적지'로 거듭나기 위한 정책 강화가 요구된다. 특히 인구감소지역은 도시지역과 비교해 인프라와 콘텐츠가 부족한 현실 속에서, 관광객들에게 '잠시 들렀다 떠나는 곳'으로만 인식되며, 지역 간 경제적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통계청과 행정안전부의 '2024년 3/4분기 생활인구 산정 결과'에 따르면, 전북은 방문객 수가 증가하고 있으나 체류 시간과 소비 측면에서는 아쉬운 성과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전주와 군산, 익산, 완주를 제외한 도내 10개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생활인구'는 관광, 업무, 통학 등 다양한 목적으로 특정 지역에 24시간 이상 머무는 모든 사람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전북의 등록인구 대비 체류인구 비율은 7월 3.7배, 8월 4.9배, 9월 5.0배로 꾸준히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전국(89개 전체 인구감소지역) 평균(7월 4.5배, 8월 5.9배, 9월 5.3배)에는 미치지 못했다.
더욱이 전북을 찾는 여행객 절반 이상(7월 50.9%, 8월 51.6%, 9월 51.2%)이 당일치기 방문을 선택했다. 2~5일 단기 체류도 40% 안팎(7월 39.3%, 8월 40.2%, 9월 40.6%)을 차지했다. 반면 6~14일 중기 체류는 평균 4.2%, 21일 이상 장기는 2.9%에 불과했다.
평균 체류 일수는 7월 3.2일, 8월 2.9일, 9월 2.8일로 감소 추세를 보이며 전국 평균(7월 3.4일, 8월 3.0일, 9월 3.1일)보다 짧았다. 평균 숙박 일수(2.9일)도 전국 평균(3.1일)에 미치지 못했다.
관광객들의 지갑도 쉽게 열리지 않는 모습이다. 인당 평균 카드 사용액은 7월 11만 8600원, 8월 10만 9100원, 9월 10만 3300원으로 감소했다. 7월에는 전국 평균과 같았으나, 8월과 9월에는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카드 사용액 비중도 41.1%로 전국 평균(47.2%)보다 낮아, 방문객들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제한적이었다.
도내 한 지역 관광 전문가는 "고창, 부안, 남원 등 관광자원이 풍부한 지역들조차 체류형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전북 관광에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는 셈"이라며 "인구감소지역의 관광 약세는 지역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