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정가보다 저렴하게 팔아요"⋯JUMF 티켓 '암표' 기승

중고거래 플랫폼서 본인확인 하지 않는 JUMF '초대권' 판매
정가에 한참 못 미치는 가격에 구매 문의하는 글 올라오기도
"암표 기승 인지하고 있어...발견 즉시 신고 부탁"

image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에 JUMF 2025 전주얼티밋뮤직페스티벌 초대권이 판매글이 올라와 있다. 당근 캡처

내일(15일)부터 열리는 2025 전주얼티밋뮤직페스티벌(JUMF) 초대권이 온라인상에서 저가에 거래되면서 암표 논란이 불거졌다. 

올해 10주년을 맞이한 JUMF는 15일부터 17일까지 사흘간 전북대 대운동장에서 열린다. FT아일랜드, YB, 크라잉넛, NELL, 데이브레이크, LUCY, 폴킴 등 가요부터 록, 밴드, 발라드, 인디밴드까지 한 자리에서 만나는 대형 페스티벌이다. 이는 전주 MBC가 주최·주관하고 전주시와 전북도 등이 후원한다. 

14일 중고거래 플랫폼인 '당근'에는 "전주 얼티밋 뮤직 페스티벌 초대권 팔아요", "전주 JUMF 2025 티켓 1일권 팝니다" 등 JUMF 티켓 판매 글이 다수 올라와 있다. 대부분 일반 티켓도 아닌 초대권이었다.

보통 암표는 정가보다 비싸게 판매하는 경우가 대다수지만 JUMF의 경우 3∼9만 원 수준으로 책정돼 있었다. 온라인 예매 기준 1일권 가격인 11만 원, 2일권 16만 4000원, 3일권 21만 8000원보다 저렴하다.

JUMF 초대권은 관계자·협력사 등에 배부된다. 예매 내역과 신분증 사본을 보여 줘야 입장이 가능한 일반 티켓과 달리 별다른 본인 확인 절차가 없는 게 특징이다. 현장에 도착해 초대권을 제출하고 환경 부담금만 추가 지급하면 문제 없이 입장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같은 허점을 이용해 정가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초대권 암표가 거래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JUMF 관계자는 "초대권은 주관사, 후원사 등 협력 관계에 있는 이들뿐 아니라 전주시민 일부에게도 배부됐다. 받는 사람을 믿고 나눠 주는 상황이다"면서 "현재 직원들이 번개장터, 중고나라, 당근 등 중고거래 플랫폼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도 운영 중이니 암표를 발견하는 즉시 신고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문채연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