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움은 결핍이 아니라 가능성입니다. 전주 역시 터와 무늬를 회복하는 메타시티로 나아가야 합니다”
23일 전북일보 리더스 아카데미 2학기 1강이 한국전통문화전당 4층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첫 강연자로 선 승효상 건축가는 ‘이 시대 우리의 도시와 건축’을 주제로 메가시티보다는 의미와 관계의 가치를 가진 ‘메타시티’를 강조했다. 그는 1989년 김수근의 '공간연구소' 설계실로부터 독립 이후 30여 년간 ‘빈자의 미학’이라는 철학으로 ‘거침보다 쓰임, 더함보다 나눔, 채움보다 비움’을 실천해 왔다.
승 건축가는 19세기 말 도시 집중과 스페인독감의 교훈을 상기시키며, 표준화된 기능 분류가 가족과 이웃을 ‘분리’한 아파트 문화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비가 와도 몸을 기댈 처마 한 줄 없는 도시”는 공공성의 쇠퇴를 상징하며, 방을 ‘거실·침실’로 가구 배치에 따라 호명하는 관행 역시 삶을 고정된 기능에 가두는 비정상이라 했다. 해법으로 그는 ‘불특정적 비움’을 제시했다. 비워둔 여백이 다양한 쓰임을 초대하고, 관계를 회복시킨다는 논리다.
특히 ‘터무니(터+무늬)’의 회복을 주문했다. 과거 집은 터주신·사당 등 영성이 스며든 장소였지만, 현대 도시는 물신주의가 그 자리를 대체했다는 것이다. 주거가 상업으로 포위돼도 집의 면모를 지키려 한 ‘시우당’(근린시설화) 사례, 배우 장미희의 집을 별자리(물병자리) 모티프의 기념 공간으로 재구성한 작업을 소개하며 “터의 이야기와 삶의 무늬가 건축의 출발”이라 설명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 설계에 대해서는 “무덤은 고인을 위한 공간이자, 방문자가 자신을 성찰하는 장소”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비문을 따라 서성이는 행위 자체가 ‘사람 사는 세상’의 윤리를 환기한다는 해석이다. 파리 노트르담 주변의 홀로코스트 추모 공간처럼, 소란한 도시 속 고요한 여백이 ‘추방된 자들’을 위한 공적 기억을 지탱한다는 비교도 곁들였다.
또 다른 작품인 하양 무학로 교회는 벽돌 전면 사용과 자연광 도입으로 “물성이 영성으로 승화되는 순간”을 노렸다. 순교자 신석복 성지 조성에서는 건물을 키우기보다 대지를 평지화해 순례·미사가 가능하도록 ‘조경으로서의 성당’을 구현했다. 이는 베네딕트 규칙의 청빈·동정·순종처럼, 물질·육체·정신으로부터의 자유를 공간으로 번역하려는 시도라고 정리했다.
이번 강연은 도시의 크기보다 ‘관계의 깊이’, 양적 채움보다 ‘의미의 비움’을 향한 건축의 방향을 제시하며 마무리됐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