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6 16:15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경제일반

북전주세무서-무주군 통합민원실 8월 개시

북전주세무서가 무주군과 손잡고 국세와 지방세 업무를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통합민원실을 운영한다. 북전주세무서(서장 최은경)와 무주군(군수 황인홍)은 26일 무주군청에서 국세·지방세 통합민원실 운영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그동안 무주군민들은 지방세 업무는 무주군청에서, 국세 업무는 도보로 12분 거리에 위치한 북전주세무서 무주민원실에서 따로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어왔다. 특히 무주군은 고령자 비율이 높아 두 기관을 오가며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어르신들의 불만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기존 무주민원실은 일반 개인 건물에 입주해 있어 접근성에 한계가 있었고, 군청에서 떨어진 위치로 인해 이동 부담도 컸다. 그동안 군청 내 가용 가능한 장소가 협소해 세무서가 입주할 면적 확보가 어려워 통합민원실 운영이 지연됐지만, 이번에 두 기관이 적극 협의해 무주군에서 확장 공사를 진행하기로 하면서 공간 문제가 해결됐다. 양 기관은 7월 중 리모델링 공사에 착수해 군청 민원봉사과 2층에 국세 업무 공간을 마련하고 무주민원실을 이전한다. 8월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주요 업무는 각종 세무 증명서 발급, 사업자 등록, 신고서 제출 접수, 신고 기간 중 대면 신고 창구 운영 등이다. 최은경 서장은 "이번 협약으로 무주군민들이 국세와 지방세 민원 업무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고, 군청과 세무서를 따로 방문해야 하는 불편이 해소되는 등 납세편의가 크게 향상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민이 체감하고 만족하는 납세자 중심의 세정서비스 제공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26 17:37

[식자재마트,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편법 운영' vs '소비자 편익' 갑론을박

전북을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확산되고 있는 식자재마트를 둘러싸고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 대형마트 규제를 우회한 편법 운영으로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는 비판과 함께 자유시장 원리에 따라 소비자 선택의 자유를 존중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편법 운영 속 지역경제 잠식 식자재마트가 유통산업발전법의 허점을 악용해 대형마트 수준의 규모로 운영하면서도 각종 규제를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행법은 전통시장 보호를 위해 대형마트(3000㎡ 이상)와 준대규모점포(1000㎡ 이상 3000㎡ 미만)에 출점 제한, 영업시간 제한, 의무휴업일을 부과한다. 그러나 일부 업체들은 법적으로는 1000㎡ 이하 소매점으로 신고하면서 실질적으로는 대형마트 규모로 운영하는 방식을 택한다. 대표적인 수법이 '분리 운영'이다. 두 개 동의 건물을 내부 통로로 연결해 하나의 대형 매장처럼 운영하는 것이다. 각 동의 면적은 규제 기준에 미치지 못하지만, 계산대는 하나로 통합 운영된다. 이러한 편법이 만연한 배경에는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 운영이 있다. 사업자 등록만으로 영업이 가능해 지자체의 관리감독이 사실상 유명무실하다. 건축법상 건물 간격을 조금만 띄워도 별개 건물로 인정받아 규제 회피가 용이하다. 지자체 역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식자재마트를 규제할 경우 발생하는 정치적 부담을 우려해 관리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이다. 무분별한 식자재마트 확산으로 전통시장과 소상공인들이 생존 위기에 처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지역 상인들의 소량 구매와 달리 식자재마트는 대량 구매와 전국 네트워크를 통한 물량 순환으로 절대적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다. 지역경제 공동화도 심각하다.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수익은 지역 내 재소비로 이어지지만, 광주 등 타지역 업체인 식자재마트는 수익을 본사로 유출시키며 지역경제 순환구조를 훼손한다. △합리적 가격과 편의성으로 소비자 호응 식자재마트의 장점은 경제적 부담 완화다. 물가 상승에 어려움을 겪는 서민들에게 기존 유통업체 대비 저렴한 가격은 가계비 절약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품질과 편의성 측면에서도 소비자 만족도가 높다. 전국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 공급 시스템은 일정한 품질을 보장한다. 전통시장의 불안정한 재고와 품질 편차와 달리, 체계적 품질관리와 냉장·냉동 시설로 쾌적한 쇼핑 환경을 제공한다. 식당 운영자들에게는 필수 식자재의 안정적 공급이 큰 강점이다. 신선식품부터 냉동식품까지 원스톱 구매가 가능해 시간 절약 효과가 크다. 과거 특정 지역에서만 구할 수 있던 특산품과 특수 식자재를 전국 어디서나 손쉽게 구매할 수 있게 된 점도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시장경제 관점에서 식자재마트 성장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견해도 있다. 법의 테두리 내에서 사업할 자유가 보장되어야 하며, 소비자 선호를 단순 규제로 차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논리다. 편의점 급성장 당시처럼 시장 경쟁 낙후를 이유로 규제를 요구하는 것은 논리적 근거가 미약하다는 반박이다. 대형마트와 달리 개인 사업자 운영이어서 정부 규제 방법도 제한적이다. 주식회사 형태의 대형마트와 달리 사유재산 영역에 속해 정부 개입 권한이 한정된다. 정치권에서도 이런 이유로 규제 방안 마련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대형마트들이 1차 식품 판매에서 밀리며 의류, 신발 등 공산품 중심으로 매장을 재편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간 직접 경쟁이 감소해 지역 상권에 오히려 도움이 되는 측면도 생겼다는 분석이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26 17:21

[건축신문고]전주시 건축민원행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우리 주변엔 생각보다 많은 건축행정서비스가 필요하다.건축물대장상 용도를 변경한다던지, 아파트나 구옥을 수리하거나 인테리어를 위해 개축을 하는 등 큰 자본의 건축사업이 아니더라도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크고 작은 건축행위들이 있다. 이러한 일상 속 건축행위들은 주로 구청 건축과에서 담당하게 되고, 시청 건축과는 큰 규모의 일반건축물 인허가 및 공공건축사업 위주의 행정업무를 담당한다. 인허가 처리시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처리일수가 결정되는데 이것을 법정처리기한이라 부른다. 작은 규모는 며칠, 대규모는 몇 달이 걸리기도 한다. 그런데 현업을 하다보면 법정처리기한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건축주가 이사나 이전 일정을 잡을 때 어려움을 겪거나, 촌각을 다투는 건축사업의 경우 사업이 좌초되는 일도 흔치는 않지만 발생한다. 그러면 법정처리기한이 명확히 정해져 있는데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 처리기한이 지연되는 주된 사유를 보면 첫째, 관련도서가 법적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일부 변경이 필요해 보완회신이 올 경우 둘째, 각과 담당자의 일신상의 사유(휴가, 단기휴직, 인사이동 등)가 발생할 경우 셋째, 필요이상의 과도한 부서협의를 보내는 경우 등이 있다. 첫 번째, 두 번째 사유는 구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사항은 아니지만 세 번째 경우는 개선의 여지가 있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재 덕진, 완산 양구청의 실무를 담당하는 건축직 대부분은 9급으로 이제 막 발령을 받은 신규공무원들이 대부분이다. 신규공무원 같은 경우 경험이 많지 않아 인허가 오류로 인한 징계 또는 고발조치 등에 대한 부담을 많이 가질 수 밖에 없다. 실제로 그런 사례도 발생하기 때문에 최대한 보수적인 입장에서 인허가를 처리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신규공무원들은 악성 민원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어려워 과도한 스트레스에 따른 어려움을 토로할 뿐만 아니라 민원업무에 대한 기피현상까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도 세심하게 고려해 현재 다양한 지자체에서 시행중인 인센티브(승진가점제, 시간외 근무수당 최대지급, 공무원 해외배낭 여행 포상 등)제도를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도 있다. 이런 조치들을 통해 아무쪼록 근무자와 시민을 위한 원활하고 유연한 행정이 펼쳐지길 기대해 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6.25 18:58

전북 혼인 늘고 이혼 줄고⋯아기 울음소리 커졌다

혼인과 출생은 증가하고 이혼은 감소하는 등 전북 가정에 훈풍이 불고 있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25년 4월 인구동향·5월 국내인구이동'에 따르면, 전북의 4월 혼인 건수는 508건으로 전년 동월(491건)보다 17건(3.5%) 늘어났다. 올해 1~4월 합계는 2179건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5.1%(106건) 상승했다. 조혼인률(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도 3.6%로 지난해 동월 3.4%를 상회했다. 반면 이혼 건수는 272건으로 전년 동월(311건) 대비 39건(12.5%) 감소했다. 1~4월 누적 이혼 건수 역시 1099건으로 전년 동기(1141건) 대비 3.7%(42건) 줄었다. 조이혼률(인구 1000명당 이혼 건수)은 1.9%로 전년 동월 2.2%에서 0.3%p 낮아졌다. 출산력 회복 조짐도 감지됐다. 4월 출생아 수는 536명으로 지난해(506명)보다 30명(5.9%) 늘었다. 1~4월 총계는 2337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2259명) 대비 78명(3.5%) 증가했다.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은 3.8%로 전년 동월 3.5%보다 0.3%p 올랐다. 그러나 인구 유출 현상은 계속되는 과제다. 5월 기준 전북 전입자는 총 1만 4741명, 전출자는 1만 5114명으로 373명의 순유출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293명)보다 80명 더 많은 수치다. 순이동률도 전년 동월(-0.2%)보다 악화된 -0.3%를 기록하며, 인천(1.3%)과 충북·충남(0.4%), 경기(0.3%) 등과 대조를 이뤘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25 16:09

[줌]고영훈 농협파트너스 신임 전북지사장 “농업·농촌 경쟁력 향상에 최선”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 일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도내 농업인과 농협파트너스 고객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농업·농촌의 경쟁력을 높이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지난 달 농협파트너스 신임 전북지사장에 취임한 고영훈 전 농협네트웍스 지사장은 농촌과 도시를 연결한 관광인프라 구축하고 지역관광 발전에 탁월한 능력을 가진 전문가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농협네트웍스 전북지사장으로 재임당시에도 지역사회와 농업인의 복지 증진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으며, 다양한 업무경험과 탁월한 마케팅 역량을 발휘해 왔다. 전북지역 농촌체험을 관광상품으로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2018년 ‘제45회 관광의 날 기념행사’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으며 전북 관광산업을 빛낸 인물로 선정됐다 지역 정서에 맞는 농촌체험 관광 및 농업인을 위한 국내외 선진지 견학 프로그램들을 개발해 농업인 실익증대를 도모했으며 전북 관광발전과 소비자의 만족을 위한 서비스제도 개선 및 업계발전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해 왔다. 여기에 근면하고 부지런한 생활습관을 바탕으로 농협의 농촌사랑 정신인 1촌1사 자매결연에도 남보다 한발 앞장서서 실천하는 등 농촌사랑에도 앞장섰다. 고 지사장은 농협교류센터의 주요 역할인 국내외 여행사업을 비롯해 미디어마케팅, 렌트카사업, 근로자 파견사업, 인테리어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한편 농촌과 도시를 연계시켜 문화적인 이질감을 없애고 교류를 통해 상호간의 실리를 얻는 활동으로 인정을 받아왔다. 특히 해외농업연수, 해외박람회, 어학연수, 패키지여행, 해외허니문 등으로 다양한 상품이 있는 여행사업 홍보에 많은 실적을 이뤘고 일반고객들도 교류센터를 통해 단순한 관광보다는 현지 농·축산물 생산 공정 견학을 의무적으로 실시해 농업인의 고충해결과 이해증진을 도모했다. 농협파트너스로 자리를 옮긴 그가 조직을 빠르고 눈부신 성장으로 이끌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이유다. 농협파트너스는 2000년에 설립된 농협중앙회 계열사로 범농협의 비용절감과 업무효율성 향상을 위해 보안경비 시설관리 콜센터 등 다양한 분야에 양질의 인력 및 서비스를 제공해 오고 있으며 토탈클린사업, 소독방역사업, 장례지원사업 등을 통해 농협의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 경제일반
  • 이종호
  • 2025.06.25 16:04

'중동전쟁 일단락' 기대감에 기름값 상승세 멈추나

중동 지역 전쟁 여파로 급등했던 기름값이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 합의로 하락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지난 13일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선제공격으로 촉발된 중동 분쟁은 양국 간 연쇄 보복으로 이어지며 국제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세계 주요 석유 운송로인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유가 폭등에 대한 우려가 증폭됐다. 그러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재로 25일 오후 1시부터 양국이 공식 휴전에 돌입하면서 중동발 리스크가 완화되고 있다. 이를 반영해 24일 국제유가는 서부텍사스산원유(WTI)가 전일 대비 6.0% 하락한 배럴당 64.37달러, 브렌트유는 6.1% 떨어진 67.14달러로 거래가 마감했다. 실제로 중동 갈등이 격화된 이후 전북 지역 기름값은 지속적인 상승 곡선을 그렸다. 2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전북 지역 기름값은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타격이 개시된 기점으로 오름세가 가팔라졌다. 분쟁 직전인 6월 11일과 12일에는 1622원대에서 소폭 등락을 보이던 휘발유 가격이 13일 1623.94원으로 상승한 뒤 연일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후 매일 1~2원씩 꾸준히 오르면서 24일 1652.10원까지 치솟았다가 25일 1652.04원(오전 9시 30분 기준)으로 미세한 안정화 양상을 나타냈다. 경유는 휘발유보다 오름폭이 더 컸다. 12일 1484.94원을 보이던 경유 가격은 20일 처음으로 1500원대를 넘어선 이후 연속 급상승세를 보였다. 24일에는 1517.47원까지 올랐다가 25일 1516.93원(오전 9시 30분 기준)으로 소폭 하락했다. 전국적으로도 휘발유 가격이 13일 1628원에서 25일 1668원으로, 경유 가격이 1491원에서 1532원으로 오르는 등 중동 전쟁의 여파가 고스란히 반영됐다. 다행히 중동 휴전으로 국제유가가 급락하면서 국내 기름값도 하향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유가 변화가 실질적으로 국내에 파급되기까지는 2주에서 한 달 정도 소요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미 선적된 기름들이 있고, 유통 과정에서 시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전북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기름값 하락 정도가 클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전북은 가격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라는 특성상 고가에서 원유를 대량 확보한 주유소들이 재고를 신속히 처분하려고 더 과감하게 가격을 인하하는 경우가 많다는 설명이다. 한국주유소협회 전북지회 관계자는 "현재 오르고 있는 기름값은 중동 분쟁 이전 국제유가 변동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기존 상승 관성이 이어지다가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라며 "중동 분쟁 당시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로 국제유가가 상승했을 때도 바로 반영되지 않고 30~40일 정도 시차를 두고 국내 기름값이 상승했다. 하락할 때도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고 말했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25 16:02

전국 17개 지역신보 이사장 한자리에⋯소상공인 지원 '머리 맞댄다'

경기침체 장기화로 중소상공인의 경영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전국 지역신용보증재단 이사장들이 한자리에 모여 지원방안 마련에 나섰다. 전북신용보증재단(이사장 한종관)은 24일부터 25일까지 전주 라한호텔에서 '지역신보·중앙회 이사장협의회'를 개최한다. 이번 협의회에는 전북신보 한종관 이사장과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원영준 회장을 비롯해 전국 17개 시·도 지역신용보증재단 이사장들이 참석했다. 지역신용보증재단은 신용이나 담보력이 부족한 소기업·소상공인의 자금 융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각 시·도에 설립된 기관으로, 각 지역 재단 이사장들은 정례적으로 모여 서민경제 정책 및 재단 운영에 관한 공동 현안을 검토해 오고 있다. 이날 참석자들은 고금리·고물가·저성장이 지속되면서 소기업·소상공인의 피해가 극심해지고 있다는 공통 인식을 바탕으로 재단 간 소상공인 지원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현재 경제 여건 악화로 중소상공인들이 겪고 있는 자금 조달의 어려움과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실질적 대안 마련에 중점을 뒀다. 보증공급, 대위변제 등의 지표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인 전북신보는 그간의 사업 추진 내용을 발표하고 타 지역 재단들과 성공 사례를 공유했다. 김관영 전북지사를 초청해 중소상공인의 주요 현안을 함께 점검하고, 향후 중소상공인 지원 정책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소통의 시간도 가졌다. 한종관 이사장은 "전국 신용보증재단 이사장협의회는 지역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온 각 지역 재단들이 상호 협력하고 함께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소통의 장"이라며 "지역 균형발전과 포용금융 실현을 위해 재단들의 연대로 중소상공인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신보는 2024년 보증공급 증가율 31.65%로 전국 3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2.81%보다 28.84%p 높은 수치다. 대위변제율은 전국 평균(5.65%) 대비 1.68%p 낮은 3.97%로 전국 최저치를 달성했다. 기본재산 증가율 부문에서는 10.48%로 전국 최고치(신설 재단인 세종신보 제외), 구상채권 회수율은 5.33%로 전국 2위를 차지하는 등 종합적인 경영 우수성을 입증했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24 19:19

전북 공공기관 부채 '눈덩이'⋯3년간 평균 1조 5627억원

전북 지역 일부 공공기관의 부채비율이 200%를 넘어서는 등 최근 3년간 도내 기관들의 부채 총액이 평균 1조 5627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 정부가 공공기관의 재무관리 강화를 강조하고 나선 상황이어서 전북 공공기관들의 재정건전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도내 10개 공공기관의 부채 총합은 2022년 1조 5434억 4000만 원, 2023년 1조 6462억 1100만 원, 2024년 1조 4987억 31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북대병원의 부채 총액은 2022년 3029억 원에서 2023년 2940억 원으로 89억 원 축소됐으나, 지난해 2994억 원으로 다시 확대됐다. 부채비율은 2022년 198.78%에서 2024년 238.59%로 치솟아 최고 위험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전기안전공사도 위험 신고가 감지된다. 부채가 2022년 2076억 원에서 계속 늘어 2024년 2746억 원까지 증가했다. 부채비율도 2022년 137.38%에서 2024년 209.41%로 연평균 23%p씩 악화된 추세다. 국민연금공단은 무자본특수법인 특성상 부채비율 산정 대상에서 제외되나, 절대적 부채 규모에서는 압도적이다. 2022년 7325억 원에서 2023년 7851억 원으로 늘었다가 2024년 5849억 원으로 감소했다. 한국국토정보공사는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부채가 2022년 2286억 원, 2023년 2615억 원, 2024년 2755억 원으로 늘어났으며, 부채비율도 39.93%, 50.07%, 60.00%로 꾸준히 올랐다.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은 극심한 등락을 나타냈다. 부채가 2022년 118억 원에서 2023년 67억 원으로 43.2% 급락했다가 2024년 96억 원으로 43.3% 증가했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역시 2022년 112억 원에서 2023년 132억 원으로 늘었다가 2024년 114억 원으로 줄어드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2023년 7억 원에서 2024년 12억 원으로 71.4% 급증했으며,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은 2022년 74억 원에서 증감을 거듭해 지난해 56억 원을 기록했다. 반면 새만금개발공사는 부채(부채 비율)가 2022년 400억 원에서 2023년 378억 원, 2024년 359억 원으로 매년 줄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태권도진흥재단도 2022년 1억 9300만 원에서 2023년 2억 1600만 원으로, 2024년 1억 8600만 원으로 줄어들었다. 한편, 윤석열 정부는 출범 당시 업무효율화 일환으로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재무성과 관리 항목 배점을 2배로 늘렸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24 16:13

대한건설협회 전북특별자치도회, 원로회원·윤리회원 친목·화합의장

대한건설협회 전북특별자치도회(회장 소재철)는 지난 19일 세종필드 GC에서 회장단·원로회원·윤리위원 25명이 참석한 가운데 '원로회원·윤리위원 친목·화합의장' 행사를 성황리에 마쳤다. 행사는 전북 건설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해온 원로회원 및 윤리위원 들의 협조와 지원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원로회원·윤리위원 상호 간 화합을 위한 친선행사를 진행하고 협회 주요 업무 동향을 설명했다. 소재철 회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 유동성 악화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태지만 회원사의 애로사항 해소와 성장 지원에 중점을 둬 새정부에 신규물량 창출, 적정 공사비 확보, 산업 규제 개선 등 건설업계 주요 현안이 포함되도록 건의하고 우리 건설업계의 현안 과제인 표준품셈의 올바른 개정을 통해 현실에 맞는 공사비가 책정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회원 간의 화합과 급변하는 법과 제도에 대한 교육과 강연 등을 수시로 제공해 임직원 역량 강화를 통한 업계의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고 건설시장 정상화를 위한 불합리한 규제 개선과 도내에 시행중인 대형 건설사업에 지역업체 참여를 한층 더 강도 있게 추진해 회원사 일감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 경제일반
  • 이종호
  • 2025.06.22 18:25

[주간증시전망] 아직 온기 확산되지 않은 코스닥에 관심 필요

코스피는 전주대비 4.4% 상승한 3021.84포인트로 마감하며 3년 5개월만에 3000포인트를 돌파했다. 국내 증시는 이스라엘의 이란공습으로 중동 지역 내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었음에도, 시장은 수혜가 기대되는 방위, 에너지, 해운업종을 중심으로 동반 상승세가 나타났다. 주 중반 정부가 AI미래기획수석을 임명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AI 관련 투자 기대감으로 인터넷, 플랫폼 업종이 상승세를 보였다. 이재명 정부 출범에 따라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증시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투자심리가 개선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2024년 8월 이후 순매도를 지속하던 외국인투자자들은 올해 5월 말부터 순매수로 전환해 6월달에만 4조5000억원 규모를 순매수하고 있는 모습이다. 외국인들은 전기전자, 운송장비, 부품, 금융업종을 순매수했는데 이는 AI 산업과 관련된 정책 기대감과 상법개정에 따른 일반주주 권익 보호, 배당확대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책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정부의 2차 추경을 비롯한 정책 수혜 기대감으로 모멘텀이 지수 하단을 지지할 것으로 보인다. 증시 주변 자금이 유입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여전히 정책 모멘텀이 있는 업종을 모색할 것으로 보이고 이미 주가가 많이 움직인 지주 업종 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오른 중소형 지주 종목으로 모멘텀이 확산될 수 있어 보인다. 수급의 호전으로 다양한 정책 모멘텀을 갖는 업종과 종목이 강세를 보이는 장세가 이어질 것이고, 중소 및 벤처기업 지원책도 신정부 정책 중 일환이나 아직 코스닥으로 온기가 확산되지는 않는 점을 고려했을 때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다만 최근 단기간 급등세를 보여온 만큼 일부 차익 실현 압력도 커질 수 있고, 상승세가 실적 기반보다는 투자심리 회복에서 비롯된 만큼, 밸류에이션이 부담되는 종목은 단기 조정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6.22 18:25

새만금에서 '곡물 자급자족'…축구장 700개 규모 농업단지 가동

새만금에 축구장 700개 크기의 대규모 곡물생산단지가 본격 가동했다. 그동안 수입에 의존하던 밀, 콩, 고구마 등 식량작물을 국내에서 직접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21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지난 20일 김제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간척지농업연구센터에서 '새만금 복합곡물전문생산단지'의 운영 방안이 논의됐다. 이날 이 자리에는 고종철 센터장을 비롯해 농어촌공사 새만금사업단, 농기계업체, 영농법인 대표들이 참석했다. '새만금 복합곡물전문생산단지'는 새만금 농생명용지 7-1공구 800ha 중 복합곡물단지 499ha 규모로 조성된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제2차 간척지의 농어업적 이용 종합계획'(2024~2043)에 따라 추진되는 사업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밀의 경우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콩도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들여오고 있다. 새만금 간척지를 활용해 식량 자급 기반 확충 및 안정적인 원료곡 공급 시범 모형으로 발전시키고, 나아가 미래 융복합 농어업 거점으로 육성하는 등 국내 곡물 자급률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사업에는 전북 지역 3개 영농법인이 참여한다. '한마음(김제)'이 239ha를, 청년 농업인 중심의 '송주(김제)'가 137ha를, 피해 농어업인으로 구성된 '좋은 일을 더하다(군산)'가 123ha를 담당한다. 이들은 올 6월부터 본격적인 영농을 시작했다. 임대 기간은 최대 10년이다. 처음 5년간 운영 실적을 평가한 후 추가로 5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영농법인들의 계약 이행 여부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이날 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은 새만금 복합곡물전문생산단지가 단순한 농업 생산을 넘어 미래형 농업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특히 첨단 기술 도입이 주목된다. 드론을 활용한 작물 모니터링, 위성 데이터 기반 토양 분석을 통한 정밀 양분 관리가 이뤄진다. 자율주행 농기계 도입도 계획 중이며, 간척지 특성에 맞는 맞춤형 재배 기술도 병행 개발한다. 농촌진흥청은 간척지 특화 농법을 연구하고, 농기계업체는 첨단 장비를 제공한다. 영농법인들은 현장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공유해 공동 해결책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정식 업무협약 체결도 추진한다. 향후 협의체는 정기적인 기술 자문과 정보 공유를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 모델을 완성해 나갈 계획이다. 수확 연시회 등 성과 확산 행사를 통해 전국 농업인들에게 혁신적인 영농 기술도 보급할 예정이다. 고종철 센터장은 "이번 협의회에서는 기관 간 역할을 정립하고 협의체 구성 및 업무협약 체결을 논의했다"면서 "앞으로도 긴밀한 협의를 거쳐 새만금간척지에 적합한 영농모형을 만들고, 농생명 용지에 성공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22 15:50

4월 전북 지역 금융기관 여신 급증세, 수신은 대폭 감소

전북 지역에서 4월 중 기업대출이 급증하며 여신이 크게 늘어난 반면, 예금은 대폭 감소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20일 발표한 '2025년 4월중 전북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동향'에 따르면, 4월 중 지역 내 금융기관 여신은 3320억원 늘어나 3월(1784억원)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기관별로는 예금은행이 890억 원에서 2415억 원으로 성장 폭이 확대됐고, 비은행예금취급기관도 895억 원에서 905억 원으로 미미하게 올랐다. 특히 기업대출이 급속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기업대출은 3월 628억 원에서 4월 2456억 원 신장으로 규모가 4배가량 커졌다. 예금은행의 기업대출은 69억 원에서 1560억 원으로 대폭 늘었는데, 대기업 대출이 하락세에서 상승세로 반전된 것이 핵심 요인으로 해석된다. 반면 가계대출은 성장세가 둔화됐다. 3월 478억 원에서 4월 230억 원으로 증가 폭이 절반 이상 축소됐다. 주택담보대출의 위축이 주된 배경이었다. 수신 부문에서는 4월 중 지역 내 금융기관 수신은 1조 1044억 원 감소해 3월(-3713억원)보다 하락 폭이 심화됐다. 특히 예금은행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4월 중 예금은행 수신은 1조 5130억 원 하락해 3월(-2229억원)보다 감소세가 현저히 가속화됐다. 요구불예금이 하락세로 전환되고 저축성예금 감소세가 완화된 결과다.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전월 -1484억 원에서 +4086억 원으로 플러스 전환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예금은행 예대율(예금 대비 대출 비율)은 4월 말 79.0%로 전월 말(76.0%) 대비 3.0%p 올랐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22 15:49

미국發 관세 쓰나미 오면 전북 수출 1621억원 '직격탄'

전북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관세정책 강화로 전북 지역의 대미 수출이 연간 1621억 원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견·중소기업 중심의 전북 수출 구조상 관세 충격이 집중될 우려가 커 선제적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19일 발표한 '美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전북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그 파급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50%, 자동차·자동차 부품 25%, 전 품목 10%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전북의 대미 수출은 약 9.9%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은행 전북본부는 관세정책의 영향을 규모효과와 대체효과로 나누어 분석했다. 규모효과는 관세 부과로 미국 내 수입가격이 오르면서 해당 제품 수요가 감소하거나 미국산으로 대체되면서 한국의 대미 수출이 감소하는 효과다. 대체효과는 국가별 관세율 차등으로 수출국 간 가격 경쟁 구도가 바뀌면서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변화하는 효과를 뜻한다. 분석 결과 규모효과는 -1억 2300만 달러, 대체효과는 +50만 달러로 나타나 총 수출 변화는 -1억 1900만 달러(1621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전북의 2024년 대미 수출액 12억 달러의 약 10%에 달하는 규모다. 대미 수출 감소는 지역경제 전반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됐다. 전북지역 대미 수출이 연간 1621억 원 줄어들 경우, 지역 내 생산은 2007억 원, 부가가치는 560억 원, 고용은 681명 각각 감소할 전망이다. 품목별로는 철강관·철강선의 수출 감소액이 286억 원으로 가장 크고, 농기계 266억 원, 자동차부품 248억 원, 알루미늄 130억 원 순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역 내 유발효과를 보면 철강관·철강선이 생산 347억 원, 부가가치 108억 원, 고용 76명 감소를 기록한다. 농기계는 생산 333억 원, 부가가치 95억 원, 고용 117명이, 자동차부품은 생산 319억 원, 부가가치 73억 원, 고용 94명, 알루미늄은 생산 148억 원, 부가가치 27억 원, 고용 27명 각각 줄어든다. 중견·중소기업 중심의 전북 대미 수출 구조는 관세 정책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냈다. 지난해 전북의 대미 수출에서 중견·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1.3%(7억 4000만 달러)로, 중견기업 37.5%(4억 5000만 달러)와 중소기업 23.8%(2억 9000만 달러)가 주축을 이뤘다. 반면 대기업 비중은 32.0%(3억 8000만 달러)에 그쳐 대기업이 69.4%를 차지하는 전국 평균과 뚜렷한 대조를 보였다. 한국은행 전북본부는 단기적으로 중견·중소기업에 대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지자체와 유관기관이 협력해 관세 대응 전담 창구를 운영하고, 관세 정보 제공과 금융 부담 완화 등을 신속하고 통합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농산가공품 등 유망 소비재 산업 지원·육성을 통해 전북 수출의 회복과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소비재는 2022년 이후 수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전북 수출 회복의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글로벌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첨단소재 품목 중심의 수출 구조 재편도 강조했다.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단 조성 등으로 확보한 인프라를 활용해 미래 유망산업 중심의 수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국은행 전북본부 전영호 과장과 김재휘 조사역은 "지난해 전북의 대미 수출은 전년 대비 25.2% 감소하며 2년 연속 하락했다"며 "전북 수출의 중견·중소기업 비중이 높고 일부 품목에 대한 의존도가 크다는 점이 미 관세정책 대응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19 17:28

"혼자 벌면 못살아"...전북 맞벌이 비중 56.6%, 전국 평균 48% 상회 전국 4위

전북지역 맞벌이 가구가 전국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동시에 1인 가구와 1인 취업 가구가 모두 늘어나는 고용 구조 변화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의 맞벌이 가구는 25만 5000가구로 전년(26만 가구)보다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부부가 모두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은 여전히 두드러진다. 유배우 가구 중 맞벌이 비중이 56.6%로 전국 평균(48.0%)을 크게 웃도는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57.1%) 대비 0.5%p 하락했지만, 제주(62.2%), 전남(58.1%), 세종(57.1%)에 이어 전국에서 4번째로 높은 비중이다. 전국적으로는 0.2% 감소했다. 유배우 가구는 가구주의 혼인상태가 '배우자 있음'인 가구를 말한다. 맞벌이 부부는 유배우 가구 중 동거여부와 관계없이 가구주와 배우자가 모두 취업자인 가구를 뜻한다. 눈에 띄는 변화는 독신 취업자층의 확산이다. 전북의 1인 취업 가구는 17만 9000가구로 전년(16만 5000가구) 보다 늘어났다. 1인 가구 대비 1인 취업 가구 비중도 지난해 58.6%에서 60.2%로 1.6%p 상승했다. 단독 거주자 전체 규모도 확대됐다. 전체 1인 가구도 29만 8000가구로 전년(28만 1000가구) 대비 1만 7000가구 증가했다. 이는 혼자 사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동시에 이들의 경제활동 참여도 활발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19 15:42

[건축 신문고] 건강한 건축설계환경을 위해서 명확한 과업지시서가 필요하다.

과업지시서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수행자들에게 발주처가 제공하는 명확한 과업 및 구체적 지침을 담고 있는 문서이다. 그 중 건축설계 부분에 대한 과업지시서의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과업지시서는 프로젝트 개요와 과업의 목적을 위주로 만들어 나가야 할 사항들을 정리해 놓은 것이다. 그러나 건축사들이 받아보는 과업지시서들을 살펴 보면 프로젝트와는 다른 과업지시서를 종종 받아보곤 한다. 단순히 프로젝트의 개요만을 고쳐 돌려쓰는 과업지시서는 발주처에게 책임회피 기능과 건축사에게 과도한 용역의 업무를 담당하게 하고 있다. 다음은 건축사들이 받아보는 과업지시서의 불합리한 부분에 대해 과업지시서 중 일부를 발췌, 재검토한 것이다. 첫째, 과업범위에 관한 사항이다. 신축, 증축, 리모델링에 따라 달라지는 설계 과업의 범위는 총괄 디자인의 개념으로 통합될 필요가 있다. 계획설계는 모든 설계의 시작인 개념설정 부분이므로 리모델링 설계 시 제외되는 계획설계 부분의 추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에 건축의 종류별로 설계대가를 적절히 산정하여야 한다. 둘째, 과업지시서상 추가업무를 제시하는 항목이다. 추가업무에는 각종 조사, 검사보고서, 투시도/조감도/실내외 색상계획, 인증관련 업무 등이 있다. 이는 ‘엔지니어링 산업진흥법의 엔지니어링사업대가’에 따르면 추가업무에 대해서는 별도로 그 대가를 지급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시된 설계비는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의 직선보간법에 의한 공사비에 따른 계상이며, 그 안에 포함되는 제출물은 별표2 건축설계의 도서작성에 명확히 표현돼 있으므로 추가업무에 대한 근거가 과업지시서에 필요할 것이다. 셋째, ‘건축서비스 산업 진흥법’의 설계 의도구현에 따른 건축 과정의 지속적 참여는 ‘건축서비스 산업진흥법 시행령’에 의해 적용돼야 한다. 넷째, 제출물에 관한 사항이다. 디지털화되고 있는 건축계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트레이싱 페이퍼와 특정 회사의 cad 프로그램 제시 및 과도한 출력물은 현 시점에 맞게 수정이 필요하다. 건축사는 프로젝트를 총괄하여 더 좋은 공간이 만들어질수 있도록 하는 직업이다. 그러나 근거가 없는 모든 과업을 건축사에게만 떠넘기는 불공정한 상황은 우리 공공건축물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일반적 발주부서들은 기존에 했던 자료를 바탕으로 약간의 수정만 거쳐 공고를 내게 된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각종 불필요한 과업들과 논쟁들을 잠식시키기 위해서라도 발주처는 금액별로, 프로젝트 용도별로 과업지시서를 검토할 수 있는 전문팀이 필요할 것이다. 과업 공고시 공고문, 과업지시서와 더불어 설계비용역산정내역서도 같이 첨부하여 더 건강한 건축설계환경으로 거듭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 경제일반
  • 기고
  • 2025.06.18 18:45

유희태 완주군수 "군민 1인당 소득 1억 원 목표"

"경제가 성장해야 행복이 따라온다. 경제 발전을 통해 행복도시 완주를 만들어가겠다." 17일 삼례문화예술촌 내 삼례로스터리 카페에서 열린 전북일보 리더스아카데미 12기 1학기 11강에서 유희태 완주군수가 '위대한 전진, 행복경제도시 완주로 비상(飛上)'이라는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강연은 1학기 과정을 마무리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유 군수는 완주군의 인구 증가 추세를 이야기하며 "완주군이 9월에는 전북 4대 도시로 진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정읍시와 1200명 차이가 나는데, 빠르면 6월 말에서 9월 사이에 정읍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도약의 원동력에는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의 결실이 자리하고 있다. 유 군수는 "산업단지 문화와 주거복합 관련 사업 공모에서 완주, 구미, 창원 3곳이 선정됐다"라며 "완주군이 확보한 금액이 885억 원"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전북도 전체에서 3명 중 1명은 완주로 오고 있다"며 완주군의 균형발전 정책이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유희태 군수는 "1인당 군민 소득 1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야심찬 경제 발전 청사진도 제시했다. 이는 전국 평균 5739만 원, 전북 평균 3119만 원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그는 "1억이 되면 전국 82개 군 지자체 중 완주가 1위가 될 것"이라고 했다. 미래 성장 동력으로는 국제수소거래소 유치를 제시했다. "국제수소거래소 설립을 위해 24명 국회의원의 협조를 받아 법안을 발의 중"이라며 "이것이 성사되면 전북 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AI센터 유치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AI센터를 전북으로 유치하기 위해 도지사와 함께 노력하고 있다"면서 "완주군에서 AI센터 위치 선정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시 기반시설 조성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유 군수는 "1000대 규모의 주차장을 만들었고, 우석대 뒤편까지 포함하면 총 1780대 주차장을 확보했다"며 "전주와 익산 사이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문화 사업 분야에서도 차별화된 접근을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에 한글 서예 학당이 없어, 이를 만들어 전국 강사들이 와서 강의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며 "우리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거점이 되겠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완주 시(市) 승격 과제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13개 읍면 중 한 곳에서 5만 명이 모여 시가 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두 군데가 합쳐서 15만 명이 되는 것"이라며 "여론조사를 통해 50% 이상 찬성하면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18 16:40

중소도시 소멸 위기, 도시·치유농업이 해답이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중소도시 소멸 위기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도시농업과 치유농업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이 주목받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한국도시농업연구회와 함께 19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중소도시 활성화를 위한 도시·치유농업 활용 방안'을 주제로 국제 학술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도시농업은 도심 내 빈 공간을 활용해 텃밭을 조성하고 농작물을 재배하는 활동이며, 치유농업은 농업 활동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회복하고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농업 형태다. 두 분야 모두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일본, 중국, 베트남, 이탈리아 등 해외 도시·치유농업 전문가들이 참여해 지역 소멸 위기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 각 나라의 실천 사례와 정책 방향을 공유하며, 국내 산·학·관·연 관계자들과의 협력 체계도 강화할 예정이다. 1부에서는 국내외 도시·치유농업 활용 사례를 집중 조명한다. 정순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연구관이 국내 중소도시 소멸 대응을 위한 도시·치유농업의 역할과 활용 방안을 발표하고, 마코토 요코하리 일본 동경대 교수가 일본 축소 도시에서의 도시농업 활용 모델을 소개한다. 링 탕 중국 장쑤성농업기술원 박사는 중국 도시·치유농업의 농촌 활성화 적용 사례를, 응오 티 프엉 란 베트남 국립 호찌민시대학교 교수는 인구 감소 예방을 위한 치유농업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프란체스코 디 야코보 이탈리아 피사대 교수는 사회적 농업 기반의 지역 활성화 모델을 발표한다. 2부에서는 임현구 대전팜 박사, 이성원 농림축산식품부 사무관, 전영삼 농촌진흥청 지도관, 김동영 전북연구원 박사 등 국내 전문가들이 참여해 중소도시 소멸 문제 대응을 위한 도시·치유농업 활용 전략을 종합적으로 논의한다. 국제 심포지엄을 통해 중소도시 문제 해결 관련 부처·지자체와 도시·치유농업 연구자 간 인적 네트워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도시 유휴 공간 문제 대응에 대한 도시·치유농업의 역할이 제고되고, 실천 방안 모색에도 도움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광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장은 "도시·치유농업은 도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주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무궁무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며 "이번 행사를 계기로 관계부처와 지자체, 국제기관 간 연결망 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18 16:34

전북 양파, 대만에 올해 첫 수출

전북농협(본부장 이정환)은 국내 양파 생산량 증가에 따른 공급 과잉 해소를 위해 지난 17일 전주원예농협 산지유통센터에서 '25년산 양파 대만 첫 수출 선적식'을 가졌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6월 양념채소 관측에 따르면 올해 중만생종 양파 생산량은 약 109만톤으로 전년(105만5천톤)보다 3.2%, 평년(106만5천톤)대비 2.2% 증가했다.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4% 줄었지만 6월 중만생종 수확기를 앞두고 기상여건이 좋아 생육이 원활해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면서 생산단수가 전년 보다 7.5% 증가해 생산량이 늘었다. 이로 인해 13일 가락동 농수산물 도매시장 양파 평균 도매가격은 1kg당 661원으로 전년(1,016원) 대비 35%, 평년(972원) 보다 32% 낮은 수준이다. 전북농협과 전주원예농협은 2025년산 양파 과잉생산에 따른 가격하락이 예상됨에 따라 국내산 햇양파 96톤을 대만에 처음으로 수출했으며 이번 수출로 선제적 수급조절 및 양파 가격을 안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 이정환 본부장은 “최근 양파 도매시장 반입물량이 증가하면서 양파 가격이 전년 대비 매우 낮은 수준이다”며 “도내 농가에서 생산한 물량을 해외시장으로 적극적으로 수출해 양파 수급안정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했다.

  • 경제일반
  • 이종호
  • 2025.06.18 15:10

전북지역 5월 무역수지 4400만달러 흑자…전년 대비 51.6% 감소

전북지역이 지난 5월 4400만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했으나, 지난해와 비교해 51.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세관이 17일 발표한 '2025년 5월 전북지역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5월 수출은 5억 16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6% 하락했다. 수입은 4억 7200만 달러로 4.9% 상승했다. 품목별 수출 현황을 보면, 기계류정밀기기(-23.5%), 수송장비(-9.7%), 화공품(-9.2%), 철강제품(-9.1%), 기타경공업(-6.8%)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수출 구성비로는 화공품(30.9%), 수송장비(16.1%), 철강제품(13.6%) 등의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수입 부문에서는 화공품(40.4%), 곡물(9.6%), 전기전자기기(4.2%)는 확대됐지만, 철강재(-5.0%)와 경공업원료(-1.9%)는 축소됐다. 수입 비중은 화공품(29.9%), 곡물(15.0%), 경공업원료(7.2%) 순이었다. 국가별로는 수출에서 중국(14.9%)과 동남아(2.4%)는 성장을 보인 반면, 미국(-10.2%), 베트남(-9.9%), EU(-0.6%)는 위축됐다. 수입의 경우 미국(71.8%)과 동남아(5.8%)가 늘어난 가운데, EU(-28.1%), 일본(-13.5%), 중국(-7.9%)은 줄어들었다. 전국 17개 시도별 5월 수출 성과에서 전북은 5억 1600만 달러를 기록해 작년 동월(5억 4000만 달러) 대비 2400만 달러(-4.6%) 감소했다. 이는 국가 전체 수출의 0.90%(전국 13위)에 해당한다. 수입 분야에서는 4억 7200만 달러를 달성해 지난해(4억 5000만 달러) 보다 2200만 달러(4.8%) 증가했다. 국가 전체 수입의 0.93%(전국 13위)를 차지했다. 올해 1~5월 누적 실적을 보면, 수출액은 27억 5200만 달러로 전년 동기(27억 8100만 달러) 대비 1.04% 소폭 하락했고, 수입액은 21억 7600만 달러로 전년 동기(22억 8700만 달러) 대비 4.85% 줄었다.

  • 경제일반
  • 김선찬
  • 2025.06.17 17:27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