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6 18:44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건·사고

폭행사건 조사 없이 종결한 경찰 '논란'

폭행 사건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이 제대로 된 조사 없이 사건을 종결시킨 것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16일 전북경찰청 등에 따르면 지난 10일 오후 9시 20분께 전주시 인후동의 한 주점에서 “손님이 폭행을 당해 피가 많이 난다”는 신고가 119에 접수됐다. 119는 즉시 112에 공동대응 요청을 했고 전주덕진경찰서 소속 지구대 경찰관 2명이 현장에 출동했다. 사건 발생 전인 이날 오후 8시 40분께 A씨(40대)는 직장동료 2명과 주점에서 술을 마시고 있었다. 이들은 영업제한시간이 다가오자 자리 이동 등의 문제로 다퉜다. 이 과정에서 A씨는 B씨(50대)의 머리를 술병으로 내려치고 깨진 술병으로 B씨의 얼굴에 해를 가했다. 상황을 인지한 주점 업주는 119에 신고했다. 이후 A씨는 일행 C씨(50대)와도 다툼을 벌이다 C씨의 얼굴을 주먹으로 때리고 넘어진 C씨에게 수차례 발길질했다. 이 폭행으로 인해 B씨는 얼굴 50바늘을 꿰맸으며, C씨는 뇌출혈로 인해 의식불명인 상태다. 문제는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이 “폭행으로 다친 것이 아니다. 술에 취해 쓰러져 자고 있는 것”이라는 A씨와 업주의 진술만 듣고 해당 사건을 종결시켰다는 것이다. 경찰 관계자는 “B씨는 진술을 거부했고 C씨는 쓰러져 있어 진술을 듣지 못하는 상황이었다”면서 “신고자가 넘어져서 다쳤다고 말하다 보니 폭행사건이라고 판단하기 애매한 부분이 있었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피해자들은 진술을 거부한 것이 아니라고 울분을 토했다. B씨는 “피가 너무 많이 나서 진술을 할 상황이 안돼 병원부터 가자고 말했는데 무슨 진술 거부냐”며 “추후에 조사를 해도 되는 건데 사건을 종결시켰다는 말을 들으니 화가 난다”고 말했다. C씨의 가족은 “피해자는 의식도 없이 중환자실에 누워있는데 가해자는 거리를 활보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너무 무섭고 분노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C씨 측은 지난 14일 전주덕진경찰서에 특수상해 등 혐의로 A에 대한 고소장을 제출했다.

  • 사건·사고
  • 이동민
  • 2022.02.16 17:48

전주시청 공무원 숨진채 발견⋯코로나19 업무 과다 호소

15일 전주시와 전주덕진경찰서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전주시청 소속 공무원 A씨가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A씨의 유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A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유족 측에 따르면 A씨가 최근 계속된 코로나19 업무로 힘들어했다는 전언이다. 전주시는 최근 확진자 폭증으로 기존에 800여 명이 4명 1개 조로 나눠 하루씩 진행하던 코로나19 업무를, 지난주부터 일주일 단위 근무로 변경했다. 코로나19 업무 연속성과 전문성 등을 고려한 조치다. 다만, A씨가 근무하던 부서의 경우 연초에 업무가 많은 특성을 고려해 재량적으로 하루씩 근무한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지난 주말에도 코로나19 업무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동료들은 "착하고 밝은 동료였는데 생각지도 못 한 일이 벌어졌다"면서 "힘들어하는 표시가 없었는데 너무나 안타깝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확진자까지 폭발적으로 발생하면서 공무원 조직 곳곳에서는 코로나19 방역 업무 과다와 스트레스를 호소하기도 한다. 더욱이 이날 공직사회에 안타까운 일까지 발생하면서, 코로나19 방역 업무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전주시의 경우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지난 2020년 2월 고 신창섭 주무관이 코로나19 방역 최일선에서 공휴일도 없이 늦은 시간까지 업무를 하다 과로로 사망하는 일도 발생했다. 이후 순직과 국가유공자 인용이 이뤄졌지만, 더는 이 같은 일이 반복돼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 사건·사고
  • 천경석
  • 2022.02.15 17:42

전북서 5년간 도서지역서 23건 화재 발생

전북 19개 도서지역에서 최근 5년간 총 23건의 화재로 인해 1명이 다치고 2억여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17~2021년)간 전북 19개 도서 지역에서 총 23건으로 화재로 1명이 다치고 2억 3000여만 원(소방서 추산) 상당의 재산피해가 난 것으로 집계됐다. 발생 장소는 야적장 등 야외 화재 7건(30.4%), 임야 화재 4건(17.4%) 순이었으며,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전체의 60.9%인 14건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달 13일 오후 3시께 부안군 위도면 식도리에서 불이 나 주택 3개 동, 창고 2개 동이 소실됐다. 이에 전북소방본부는 소방 인프라가 부족한 도서 지역을 대상으로 소방시설 및 인력 보강, 주민의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도서 지역 화재대응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비상 소화장치·보이는 소화기 등 소방시설 보강 △도서 지역 전 가구 기초 소방시설 100% 보급 △도서 지역 전담 의용소방대(1개 대 보강) 발대 추진 △소방안전교육을 통한 주민 대응 능력 강화 등이다. 또 신속한 대응을 위해 전 도서 지역을 대상으로 매년 120곳을 대상으로 소방특별조사도 실시한다. 이 밖에 주요 도서 지역을 대상으로 화재 진압 출동 훈련, 선박 화재·전복·표류 등 재난 대응훈련, 구조 보트 등을 활용한 인명 검색 구조훈련을 통해 대응 능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 사건·사고
  • 최정규
  • 2022.02.14 17:25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