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5 04:54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건·사고

고층아파트 골라 턴 10대 '스파이더맨 도둑'

서울 종로경찰서는 고층아파트 창문을 넘어들어가 금품을 훔친 혐의(절도)로 권모(19)군을 구속했다고 16일 밝혔다.경찰에 따르면 권군은 지난 5일 낮 12시30분께 서울시 도봉구 도봉동 한 아파트 13층에서 복도 계단 창문 밖으로 나가 발코니 창문이 열려있던 같은 층의 빈집에 침입, 300만원 상당의 귀금속을 훔쳤다.권군은 이 밖에도 지난 7월 말부터 이달 5일까지 서울과 경기도 수원, 전북 전주 일대에서 중앙계단 창문과 발코니 창문이 나란히 붙은 고층아파트를 골라 6회에 걸쳐 3천500만원 상당의 금품을 훔친 혐의를 받고 있다.그는 20층 발코니 창문을 통해 빈집에 들어갔다가 주인이 돌아오는 것을 눈치 채고 다시 창문을 넘어 달아나는 등 대담함을 보였고, 3분 안에 범행을 끝내고 달아날 정도로 능숙했다고 경찰은 전했다.또 의심을 피하려고 모자와 장갑을 착용하지 않았고, 범행 후 내려올 때는 폐쇄회로(CC)TV를 의식해 마치 아는 집을 방문한 것처럼 엘리베이터 안에서 바깥쪽으로 인사하는 시늉을 하는 등 치밀함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그는 등에 '오늘을 즐기라'는 뜻의 라틴어 문구 '카르페 디엠(Carpe Diem)'을 문신으로 새기는가 하면 범행 전 '생각은 짧게, 실천은 빨리'라는 자기 암시를 하며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기도를 하는 등 특이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권군은 경찰에서 "고층아파트 주민들은 층수가 높다는 이유로 방심한 채 발코니 창문을 열어 놓고 외출하는 경우가 많고, 아파트 밑을 지나는 주민들도 위쪽을 잘 쳐다보지 않아 범행하기가 쉬웠다"고 말했다.

  • 사건·사고
  • 연합
  • 2012.10.16 23:02

정부청사 방화男, 블로그서 교과부 비판

4일 정부중앙청사 교육과학기술부 사무실에서 발생한 김모(61)씨의 방화투신 사건과 관련, 경찰은 김씨가 블로그에서 교과부를 비판한 내용을 발견하고 사건과의 연관성 여부 파악에 나섰다.서울 종로경찰서 관계자는 "숨진 김씨가 자신의 블로그에 교과부가 교과서에서 시조새 등 진화론 관련 내용을 삭제키로 한 방침에 반대하는 취지의 글을 올린 사실이 확인돼 사건과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김씨는 지난 7월14일 자신의 블로그에 '시조새 관련 진화론을 삭제시키려고 한 교과부의 음모'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려 "교과부가 종교단체의 집요한 청원에 밀려 교과서에서 진화론 관련 내용을 삭제하려 한다"며 삭제 방침을 철회해야 한다고 밝혔다.지난해 12월과 올해 3월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회(교진추)'는 진화론 관련 내용을 교과서에서 삭제할 것을 교과부에 청원했다. 생물학계가 이에 맞서 청원을 기각해야 한다고 반박하면서 이 논란은 국제적으로까지 관심을 끌었다.김씨는 글에서 "과학적 이론체계인 진화론을 지지하는 관련 학회의 의견은 들어보지도 않고 일방적으로 청원문을 첨부해 각 출판사에 공문을 내려 보냈다면 출판사 입장에서 교과부 의중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은 자명한 이치"라며 "의견 충돌이 있는 문제에 대해선 공론화 과정을 거쳐야 마땅하나 교과부는 일방적으로 종교단체의 손을 들어줬다"고 주장했다.그는 8월19일에도 "국가 백년대계를 책임져야 할 교과부가 한 종교단체의 압력에 굴복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정부청사 후문에서 1인 시위를 통해 항의하자고 제안하는 글을 올렸다.김씨는 이날 오후 1시35분께 서울 세종로 정부청사 18층 교과부 사무실에 가짜 출입증을 갖고 들어가 불을 지르고 창밖으로 뛰어내려 숨졌다.

  • 사건·사고
  • 연합
  • 2012.10.15 23:02

외국인 범죄 지속…수사인력 태부족

도내 지역에서의 외국인 범죄가 해마다 지속되고 있지만 수사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8일 경찰청이 선진통일당 김영주 의원에게 제출한 '경찰서별 외국인 거주자 및 외사담당 경찰관 현황'에 따르면 도내에는 모두 2만 2053명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고, 이를 담당하는 외사담당 경찰관은 31명에 불과하다.도내 외사담당 경찰관 1명당 평균 711명의 외국인을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완주경찰서의 경우 전체 거주 외국인은 2144명인데 반해 외사담당 경찰관은 1명밖에 없어 업무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심지어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지만 외사담당 경찰관이 한 명도 없는 곳도 고창 무주 부안 순창 임실 장수 진안 등 7곳이나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때문에 해마다 지속되는 외국인 범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도내에서는 2010년 364건, 지난해 375건, 올해 7월말 현재 238건의 외국인 범죄를 처리했다.김영주 의원은 "외국인 범죄 증가로 '외국인 혐오증'이 확산되고 있지만 외사담당경찰이 턱없이 부족해 초동수사 대응이 부족하다"면서 "인력충원과 함께 외국인 범죄 예방대책을 조속히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 사건·사고
  • 박영민
  • 2012.10.09 23:02

보복범죄 증가…신고 겁난다

A씨(71)는 지난 7월 50대의 B씨로부터 폭행을 당했다. B씨가 몇 달 전 술을 먹고 찾아와 A씨에게 폭력을 휘두른 사실을 경찰에 신고해 벌금 70만원을 받게 했다는 게 이유였다. 이 사건으로 A씨는 몸과 마음에 큰 상처를 입었다.C씨(44)는 자신이 운영하는 가게에서 발생한 폭행사건에 대해 경찰에 진술을 했다가 D씨(44)로부터 폭행을 당했다.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았던 C씨가 D씨에 대해 불리한 진술을 한 것이 화근이었다.사건 피의자가 신고자나 증인, 피해자에게 앙심을 품고 재차 범죄를 저지르는 보복성 범죄가 늘고 있다. 증가하는 보복범죄예방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8일 경찰청이 민주통합당 김 현 의원에게 제출한 '2008년 이후 보복범죄 발생현황'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도내에서는 모두 25건의 보복범죄가 발생했다.지난 2008년 3건에 불과하던 보복범죄는 2011년 7건으로 증가한 뒤 2012년 8월말 현재 10건으로 급증했다.같은 기간 전국적으로는 모두 614건의 보복범죄가 일어났고, 이로 인해 696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다. 특히 보복범죄가 강력 범죄로 이어지면서 최근에는 사망자까지 나오고 있다.실제 지난 8월 강원도에서는 50대 남성이 접촉사고 처리과정에서 자신에게 불리한 진술을 한 피해자를 찾아가 흉기로 살해하기도 했다.이처럼 보복범죄가 늘어나는 것은 경찰의 증인과 피해자에 대한 보호 시스템에 허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김 현 의원은 "자신을 신고한 신고자나 증인 등에게 앙심을 품고 저지르는 보복범죄가 갈수록 증가한다면 아무도 범죄사실에 대해 사실대로 이야기 하지 않을 것이다"면서 "보복범죄 감소를 위한 경찰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사건·사고
  • 박영민
  • 2012.10.09 23:02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