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에서 공동육아는 가능한가
v:* {behavior:url(#default#vml);}o:* {behavior:url(#default#vml);}w:* {behavior:url(#default#vml);}.shape {behavior:url(#default#vml);}■ 주제 다가서기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다.v:* {behavior:url(#default#vml);}o:* {behavior:url(#default#vml);}w:* {behavior:url(#default#vml);}.shape {behavior:url(#default#vml);}■ 주제 관련 신문기사△어느 공동육아 협동조합의 총회 이야기 영남일보, 2014-3-25△아이들은 현재를 살아가고 있다 영남일보, 2014-4-15△전주건강가정센터 아빠와 함께 하는 토요돌봄프로그램 운영 전북일보, 2014-3-10△ 공동육아 하러 왔다가 학교 살리고 마을 살리고 한겨례신문, 2013-11-25v:* {behavior:url(#default#vml);}o:* {behavior:url(#default#vml);}w:* {behavior:url(#default#vml);}.shape {behavior:url(#default#vml);}■ 신문 읽기(자료 기사)〈읽기자료1〉서울시는 주민들이 공동으로 아이를 키우는 마을공동체 26곳을 선정, 총 4억5900만원을 지원한다고 3일 밝혔다. 지원 대상에는 생태체험과 가족캠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성북구 행복한 아이들, 육아사랑방 등 부모커뮤니티가 활성화된 마포구 시소와 그네, 저소득다문화가정에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평구 한빛마을센터 등이 포함됐다. 26곳 중 12곳은 지난해 지원했던 곳으로 평가결과 사업실적이 우수한 곳이며 나머지 14곳은 올해 신규로 지원한 곳이다. 마을공동체가 공동육아 사업안을 시에 제출, 심사를 통해 지원금을 받는 서울시 마을공동체 공동육아 사업은 지난해 10월 시작돼 올해까지 4차례 실시했다. 지원비는 현금으로 지급되며 사업컨설팅, 돌봄공동체 코디네이터 전문과정, 주민공동시설 무상 운영등에 쓰인다. 우수 마을로 선정된 곳은 3년까지 지원신청이 가능하다.시는 지원을 받는 육아공동체에 대해 현장 점검 등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를 해나간다는 방침이다.〈출처 : 한국일보 2013-09-04〉〈읽기자료2〉서산시는 자녀를 둔 부모들이 가진 재능과 육아 정보를 이웃과 함께 나눌 수 있는 공동육아 나눔터를 운영한다. 공동육아나눔터는 주민들의 품앗이 활동을 통해 육아문제를 해결하고 재능 나눔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자녀와 함께하는 학습동아리, 체험활동 등으로 다양하게 운영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영어를 잘하는 부모는 자녀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요리솜씨가 뛰어난 부모는 반찬 만드는 법을 함께 공유한다.윤관희 보건과장은 공동육아 나눔터가 자녀의 돌봄 공백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며 운영 활성화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공동육아나눔터는 매월 둘째, 넷째주 금요일에 보건소 다목적 교육실에서 운영하며 육아에 관심 있는 가족이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출처 : 중부매일, 2014-04-30〉v:* {behavior:url(#default#vml);}o:* {behavior:url(#default#vml);}w:* {behavior:url(#default#vml);}.shape {behavior:url(#default#vml);}■ 생각 열기△ 〈읽기자료1〉을 읽고, 서울시가 공동육아를 위해 어떤 지원을 하고 있는지 쓰시오.△ 〈읽기자료1〉을 읽고 서울시로부터 공동육아와 관련된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 정리해보시오.△ 〈읽기자료2〉를 읽고 공동육아나눔터를 만든 목적을 찾아 쓰시오.△ 〈읽기자료2〉를 읽고, 공동육아나눔터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과 효과를 정리해보시오.v:* {behavior:url(#default#vml);}o:* {behavior:url(#default#vml);}w:* {behavior:url(#default#vml);}.shape {behavior:url(#default#vml);}■ 심화활동△ 〈읽기자료2〉를 읽고, 서산시 공동육아나눔터를 홍보하는 광고문을 만들어보시오.■ 생각 키우기△ 주요용어정리△ 함께 알아두면 좋은 시사상식〈핀란드의 공동육아〉핀란드에는 가정보육사라는 직업이 있다. 집에서 자신의 아이와 함께 다른 집 아이 몇 명을 돌보는 직업인데, 핀란드 전체 탁아 대상 아이의 25% 정도가 이들의 손에 맡겨진다. 가정집 분위기에서 자녀를 키울 수 있어 부모들로부터 인기가 높다.가정보육사는 시 정부에 소속된 정규 직업으로 안정적 급여와 연금을 받는 대신 보육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하는 등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핀란드에서 또한 출산 시 엄마휴가와 부모휴가가 있는데, 휴가 기간에도 급여의 70%가 보장되고 별도의 육아수당과 육아용품 지원 등 다양한 출산 지원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v:* {behavior:url(#default#vml);}o:* {behavior:url(#default#vml);}w:* {behavior:url(#default#vml);}.shape {behavior:url(#default#vml);}■ 생각 더하기△공동육아와 같이 현재 겪고 있는 육아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나 정책이 무엇이며 어떤 효과가 있을지 써보세요.△ 핀란드의 가정보육사라는 직업과 같이 새로운 유형의 육아 관련 직업이 생길 것으로 예상하였을 때 우리 나라에서는 어떤 직업이 생길 것이며, 하는 일은 무엇일지 예상해봅시다.△ 2050년 내가 만약 아이를 키우고 있다고 가정하고, 미래 일기를 써봅시다. (원고지 400자 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