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E] 창의·인성교육은 왜 필요한가
21세기를 이끌어갈 미래 인재의 핵심 역량으로 창의성이 강조되면서 창의·인성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번주에는 창의·인성교육에 대해 알아봅시댜.◆신문읽기전북일보 2011년 8월 12일 11면▲ 생각키우기1. 창의성이란 무엇인가?2. 창의와 창조의 차이점은?3. 혁신학교란?4. 왜 창의 인성교육이 필요한가?5. 창의적 체험활동이란?6. 대입사정관제란?7. 에듀팟이란?8. 자기 주도적 학습이란?9. 세계화(Globalization)와 창의성과의 관계는?10. 글로벌 지식 기반 사회과 바라는 인재상은?11. 글로벌 창의 인재는 누구라고 생각하며, 이 사람들의 공통점은?12. 다음은 교육 방향을 제시한 표이다. 예시 항목을 참고하여 빈칸을 채우면서 미래의 교육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하는지 토론해 보자.* 과도한 분량, 짜여진 교육* 획일적 교육* 암기위주, 정답 찾기 교육* 교과서 중심 교육* 교육과정과 유리된 인성교육* 시험성적 위주의 평가⇒* 적정한 학습량, 유연한 교육*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 문제해결과정을 중시하는 교육* 교과와 체험활동이 융합되는 인성교육* 교육과정에 포한되는 인성교육* 과정과 결과에 대한 종합적 평가13. 다음 그림은 에셔의 천사와 악마라는 제목의 그림이다. 그림을 감상하면서 관점의 차이에 따라 사물이 다르게 보인다는 것을 체험해보고 우리 주변에 이러한 예가 무엇이 있는지 찾아보자.에셔의 천사와 악마◆ 관련상식▲창의·인성교육이란?창의·인성교육이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동시에 더불어 살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다. 미래를 이끌어갈 글로벌 인재가 갖추어야 할 창의성과 인성을 길러주기 위하여 두 교육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서 올바른 인성과 도덕적 판단력을 구비한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철학이자 교육전략이다.(교육과학기술부(2010). 창의·인성교육 교육과정 지침.21세기의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의 핵심역량으로서 창의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창의성만으로는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인재가 되기에는 불완전하여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한 나라의 진정한 부의 원천은 그 나라 국민들의 창의적 상상력에 있다"는 아담 스미스의 말도 창의적 인재가 얼마나 중요한 가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는 말이다.▲대입사정관제란?학생 개개인마다 주어진 환경과 여건, 능력이 서로 달라 교과 성적과 수학능력시험이라는 동일한 잣대로는 다양한 능력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하다. 이에 학생의 특성을 보다 포괄적으로 반영하여 각 대학에서 추구하는 인재상에 부합되는 학생을 선발하고자 생겨난 제도가 입학사정관제이다.입학사정관은 스스로 학습을 설계하고 이에 맞는 탐색을 통해 문제 해결을 하는 학생을 원한다. 무엇보다도 자기주도적인 탐구 능력이 필요하다. 학생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향해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하나의 제도이다. 21세기 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력'은 특히 중요한데 동기유발과 흥미, 학습이 한데 어우러진 창의적 사고가 결국 우리의 미래를 책임질 것이기 때문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를 살고있는 우리에게 누구나 평생 동안 배워야 하는 즉, 배우는 것을 게을리 하는 자는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은 평생 동안 스스로 배울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학교 성적뿐만 아니라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 향상을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관련 SITE▲에듀팟(http://www.edupot.go.kr)에듀팟은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교 내?외의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을 기록?관리하는 온라인 시스템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4가지 영역인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중심의 활동 내용과 자기소개서, 방과후학교활동 등을 포함하는 교과 외 활동에 학생이 성실히 참여한 과정과 결과를 담는 그릇입니다.▲창의 인성교육넷(http://www.crezone.net)창의체험활동 공간정보, 지역별, 날짜별 활동정보, 활동 후기, 창의, 인성교육 등 제공.▲한국대학교육 협의회(http://www.kcue.or.kr)전국 국립, 사립대 안내, 고등교육 정보, 정책개발, 주간 대학교육 소식 제공.▲한국미디어교육의 중심 For Me(http://www.forme.or.kr)한국언론진흥재단 운영 미디어교육 사이트, NIE 수업지도안, 시사퀴즈, 공모전 작품 등 안내.▲한국신문협회 NIE(http://www.pressnie.or.kr)중고등학교 NIE 수업자료, 참고도서 목록, 수업사례, 지역별 자유 발언대 제공.▲카인즈(http://www.kinds.or.kr)한국언론재단 구축 종합뉴스DB, TV방송, 시사잡지, 일간지 등 기사검색 서비스 제공.▲청소년 수련활동 인증정보시스템(http://www.yap.go.kr)한국청소년진흥센터 운영 청소년수련활동 인증제, 진행상황 및 접수, 인증프로그램 정보 수록.▲독서지원시스템(http://www.reading.go.kr)학생, 교사, 학부모 독서교육 종합 지원 시스템 서비스 제공.◆ 관련도서▲생각의 탄생로버트 루트번스타인 : 미셸 루트번스타인 (지은이) : 박종성 (옮긴이) : 에코의서재레오나르도 다빈치, 아인슈타인, 파블로 피카소, 마르셀 뒤샹, 리처드 파인먼, 버지니아 울프, 제인 구달, 스트라빈스키, 마사 그레이엄 등 역사 속에서 뛰어난 창조성을 발휘한 사람들이 과학, 수학, 의학, 문학, 미술, 무용 등 분야를 막론하고 공통적으로 사용한 13가지 발상법을 생각의 단계별로 정리한 책.▲생각 정리의 기술드니 르보 : 장 뤽 들라드리에르 : 피에르 몽젱 : 프레데릭 르 비앙 (지은이) : 김도연 (옮긴이) : 지형 :마인드맵이란 기호, 그림, 색상 등을 활용하여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여러 가지 생각들을 방사형으로 펼쳐나가는 창의적 사고법이다. IBM, 골드만 삭스, 보잉, GM 등을 비롯하여, 미국의 포춘지가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 중 300여 개의 기업이 마인드맵을 업무에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여러 대기업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다중지능하워드 가드너 (지은이) : 문용린 : 유경재 (옮긴이) : 웅진지식하우스(웅진닷컴)존 듀이 이후 최고의 교육학 이론가로 손꼽히는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소개한 책. 다중지능이론의 핵심 메시지, 다중지능 교육 방법, 창의성과 리더십을 중요하시는 미래 사회에서 다중지능의 역할과 전망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