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형 청년수당 3000명에게 월 30만원씩 최대 1년 지원
전북도가 '전북 청년 함성(함께성공) 패키지 사업' 1탄으로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을 시작한다. 이번 사업은 농업, 중소기업 등 지역 산업에 종사하면서 도내 정착 의지가 있는 청년에게 월 30만 원씩 최대 1년간 정착지원금을 지원하는 제도다. 2019년 500명 규모의 시범사업 시행 이후, 참여자의 높은 만족도와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에 힘입어 매년 사업 대상을 확대해왔다. 특히, 올해부터는 소득수준(중위소득 150% 이하→180% 이하)과 재직기간(1년 이상→6개월 이상)을 완화해 지원 규모를 3000명으로 확대했다. 시군별 인원은 전주 1338명, 군산 441명, 익산 480명, 정읍 144명, 남원 102명, 김제 105명, 완주 138명, 진안 24명, 무주 27명, 장수 24명, 임실 27명, 순창 30명, 고창 60명, 부안 60명이다. 청년수당 지원 대상은 전북에 1년 이상 거주하고 공고일 현재 전북에 주민등록이 등재된 청년(만 18세~만 39세)이다. 도내 농업, 임업, 어업, 중소기업, 문화예술, 연구소기업 분야에 6개월 이상 종사자 중 가구 중위소득 180% 이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청년에게는 월 30만 원씩 1년간 신용(체크)카드 연계 포인트 방식으로 수당이 지급된다. 건강관리, 자기 계발, 문화레저 등 사용 가능 업종에 해당하는 도내 사업장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전북도는 그간 참여자들의 만족도 및 정책 선호도가 높았던 만큼 청년들의 안정적인 지역 정착과 성장을 돕고, 더불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홍석 전북도 기획조정실장은 “민선 8기 공약『전북 청년 함성 패키지 사업』의 첫 번째인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 본격 추진을 시작으로, 도내 청년들이 일과 성장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도록 돕겠다”며, “사업 대상이 3,000명으로 확대된 만큼 많은 청년들의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 청년 함성(함께성공) 패키지 사업 신청 희망자는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 누리집(ttd.ezwel.com) 또는 전북청년허브센터(www.jb2030.or.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접수 기간은 16일부터 2월 24일까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