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 추곡수매가를 4% 인하하는 안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지자 도내 농가와 관련단체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정부의 추곡수매가 인하방침은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로 쌀 80㎏(1등품 기준)이 16만1천10원으로 지난해보다 평균 4%가 떨어지고 수매량도 74만4천t으로 1%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농림부는 11일 국무회의에서 추곡수매안이 원안대로 확정됐다며 내달초 국회에 제출해 동의를 받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림부는 수매가를 인하하면서 직불제 개편 등 소득보전대책을 함께 검토하기로 했다.
그러나 전국의 15%이상을 생산하고 있는 도내 쌀 생산농가들은 추곡수매가 인하와 수매량 감소로 2백억원이상의 손실을 입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한편 정부의 수매가 인하방침과 관련, 한농 전북도연합회와 전농 전북도연맹 등에서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농 도연맹 유재흠 정책실장은 "정부가 쌀 협상을 앞두고 농업농촌 종합대책·RPC구조조정·공공비축제 등 일련의 정책을 펴면서 너무 서두르는 느낌”이라면서 "협상 상대국들에 공격당할 문제들을 너무 일찍 포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실장은 또 "정부가 취약한 협상력을 원칙적 입장만 고수하면서 그에 따른 짐을 농민들에 전가시키고 있다”고 말하고 "수매가를 인하하면서 내놓은 소득보전책도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여서 국가가 쌀 산업 정책을 포기한 것 아닌가 우려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한농 도연합회도 성명서를 발표하고 ”농가소득보전을 위한 수매제의 실질적 제도확충이 선행돼야 한다"면서 "인접한 일본·대만보다 열악한 우리 양정여건을 충분히 고려치 않은 결정”이라고 반발했다.
한농 도연합회는 또 "쌀값 하락 및 생산비 폭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를 실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논농업직불제 등 WTO 허용대상 소득지지정책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