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이곳만은 지키자-생태보고서] 미륵사보다 먼저 지어진 사찰 '사자암'

사자암 대웅전. (desk@jjan.kr)

시누대가 도열하듯 서 있는 사자암(獅子庵)으로 가는 길은 호젓했다. 가파르긴 하지만 그리 높지도 않고 멀지도 않아서 여름은 여름대로 겨울은 겨울대로 오르기 좋은 이 길은 연인의 데이트 코스로 안성맞춤처럼 보였다.

 

사자암에 불공을 드리러 오다가 미륵삼존을 만나 미륵사지를 세웠다는 설화로 짐작해 보건데 무왕과 선화공주도 사자암을 자주 올랐던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암자로 오르는 길엔 군데군데 크고 작은 바위들이 눈에 들어온다.

 

조선 후기 한때 바위에 글을 새기는 것이 유행이었다는 전문가의 설명처럼 사자암까지 오르는 길에 놓인 큰 바위엔 어김없이 글이 새겨져 있었다.

 

사자암은 지난 1993년 마한백제 연구소의 발굴조사에서 사자사라고 표기된 기와가 발견된 것과 삼국유사의 기록으로 볼 때 미륵사보다 앞서 창건된 백제시대의 사찰로 보여진다.

 

수령이 300년은 족히 넘어 보이는 느티나무와 팽나무가 석축을 쌍아 올린 터에 자리 잡은 법당을 에워싸서인지 오래된 마을에 들어선 듯 정겹다.

 

현재의 사자암은 법당 터를 만드느라 쌓아올린 석축이나 나무의 수령으로 볼 때 조선조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폐허가 된 암자를 중창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자암의 새로 지어진 선방 쪽으로 걸음을 옮기면 한반도를 닮은 금마저수지가 한 눈에 들어온다. 또 사자암에서는 멀리 운장산 자락을 타고 고산, 봉동, 삼례, 전주, 익산과 금마 평야가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다.

 

박영민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북현대[CHAMP10N DAY] ⑥전북현대 가슴에 ‘왕별’ 반짝⋯우승 시상식 현장

익산익산경찰, 음주운전 집중단속

전북현대‘10번째 우승 대관식’ 전북현대, 전주성 극장으로 만들었다

전북현대[CHAMP10N DAY] ⑤함께 울고 웃었던 전북현대 팬들이 준비한 선물은?

익산익산 왕궁농협, 종합청사 신축공사 안전기원제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