⑤미국의 사례-체사피크만 환경 개선사업
미국 동부 6개 주와 맞닿아 있는 체사피크만(Chesapeake Bay)은 1만9000km에 달하는 기나긴 해안이다. 체사피크만의 유역에 흘러드는 강과 하천은 수천 개이고, 이 만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주민들도 무려 1600여만명에 이른다. 간접 영양권까지 포함하면 7000만명의 시민이 연관되어 있다.
이 일대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이 이어지면서 체사피크만은 농경지에서 흘러드는 질소와 인으로 인한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했고, 공업화에 따른 산업 폐기물까지 흘러들며 중병에 걸렸다.
이 지역을 관할하는 미국 환경보호청(EPA 제3구역)은 "체사피크만의 부영양화의 주원인은 농업에서 비롯되었다"며 "이후 공업화가 진전되면서 산업 폐기물까지 이 곳에 대량으로 유입, 환경 문제가 심화되었다"고 설명했다.
농업에 따른 부영양화는 만으로 흘러드는 유역에 위치한 농경지에 뿌려지는 퇴비나 인공 화학비료에서 발생한다. 여기에 도시지역의 노후화된 하수처리장도 이같은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환경보호청은 "미국의 많은 도시들이 100년이 지난 낡은 하수처리시설을 그대로 사용하는 사례가 있고, 이들 오폐수가 만 일대에 밀려드는 바닷물에 가로 막혀 유역 일대에서 정체하면서 오염물질이 수십년간 쌓였고, 해를 거듭할수록 오염도가 점차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1970년대 미국 상원의원 찰스 맥매티아스(Charles Mac-Mathias)는 만에 살고있는 생물자원이 급속도로 줄어드는 원인을 찾기 위해 의회 차원서 2700만 달러를 지원했다. 연구 결과 생물자원 감소는 질소 부영양화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연구는 체사피크만 회복 운동의 단초를 제공했다.
체사피크만에 대한 환경 오염이 가시화 되면서 이 일대에 대한 환경을 회복시키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1983년부터 진행된 '체사피크만 프로그램(Chesapeake Bay Program: CBP).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파트너는 매릴랜드주, 팬실베니아주, 버지니아주, 워싱턴DC, 체사피크만위원회, 3개주 입법기관, 연방 환경보호청, 연방정부 대표, 지역 시민단체, 지역주민 대표들이다. 이들은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만으로 유입되는 오염을 줄이는 한편 만 일대에 서식하는 생물자원 보존 작업에 나섰다.
CBP에 참여한 파트너들은 만 회복을 위한 합의문을 만들고 '체사피크 집행위원회'를 구성, 프로그램 실행에 나섰다. 집행위 위원은 매릴랜드 주지사, 버지니아 주지사, 펜실바니아 주지사, 워싱턴DC 시장, 연방환경보호청 환경보호국 행정관, 3개주 입법기관 등이다.
위원회는 2000년까지 질소와 인의 유입을 40%까지 줄이는 내용을 뼈대로 한 합의문을 이끌어 냈고, 환경보호청의 주도로 CBP는 연방정부가 수자원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한 '맑은 물 법' 제117조항에 삽입되면서 연방정부로부터 공식적인 활동을 승인 받았다.
이어 1992년엔 프로그램 파트너들이 만에 쌓인 독성분의 영향을 재평가하고, 이를 저감시키는 전략을 다시 작성키로 합의했다. 또 체사피크만 주변에 위치한 25개 지역정부와 기관들이 이 활동에 동참했다.
그동안 규합된 파트너들은 2000년 6월 8일 '체사피크 2000'이라는 합의문에 서명했다. 이 합의문엔 2010년까지 10년간에 걸친 회복 프로그램과 환경 보호를 규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합의엔 뉴욕과 델라웨어 주지사가 추가로 서명했고, 웨스트 버지니아 주지사도 2002년 이 대열에 합류했다. 지역주민들은 만 유역의 오염도에 대한 모니터링 작업에 참여했다.
체사피크만 유역이 너무 넓어 CBP의 효과는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환경 개선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간접적인 수치는 어획량. 환경보호청은 "1991년의 어획량을 기준으로 1995년엔 50%까지 떨어진 후, 2008년엔 환경이 개선되면서 78%까지 오르고 있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