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농협, 중앙본부 조직개편 추이 큰 관심
농협개혁을 위한 농림수산식품부의 개혁위원회가 출범해 첫 회의를 개최한 가운데 전북농협도 지역본부에 미칠 영향을 저울질하며 뒤숭숭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농협개혁위원회가 연말까지 개혁방안을 논의한 후 농식품부는 이를 토대로 농협법 개정안을 마련, 내년 2월 임시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개혁위의 농협법 개정 핵심은 중앙회장의 대표이사 추천권이다. 2005년 농협법 개정으로 회장 지위가 비상임직으로 격하됐지만 농협법 130조에 따라 중앙회장은 중앙회 전무이사와 신용, 경제 등 각 사업 대표이사를 추천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개혁위는 회장의 연임횟수를 제한하고 대표이사 후보 추천권을 인사추천위원회에 넘기는 방안을 모색중이다.
이와함께 중앙회장의 입김이 막강한 감사추천위의 독립성 보장도 주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흐름을 타고 있는 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의 분리도 관심거리이다.
이같은 농협 개혁에 대해 전북농협 관계자들은 '공은 개혁위로 넘어간 것 아니냐'면서도 본부 조직 개편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0%선으로 논의되고 있는 인력감축 문제와 고위급인 1, 2급 감축 문제 등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농협이 변해야 된다는 것은 직원들도 공감하는 부분"이라면서 "다만 농협이 체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력감축도 문제지만 조직의 시스템 개선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또 "인력감축 문제는 본부의 향방에 따라 지역본부에 변화가 예상되지만 전북본부의 경우 규모가 작은데다 이미 상당한 조정을 이뤄내 큰 틀의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신용, 경제사업의 분리는 이전단계에서 지주회사를 만들면 시기를 크게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심이 많은 임원급의 경우 본부 상무가 16명에서 11명으로 줄었지만 지역안배차원에서 전북출신 인사 기용이 유력한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