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판매부진으로 GM대우차 군산공장이 18일 모든 생산라인의 가동을 중단하자 군산시와 상공업계 등은 깊은 시름에 빠졌다.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 속에서 4천여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군산공장이 조업을 중단함에 따라 지역경제가 '직격탄'을 피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군산시는 이날 군산공장이 조업을 중단하자 '드디어 올 것이 왔다'라는 분위기속에서 대응책 마련에 부심했다.
보름 전 군산공장으로부터 사전통보를 받아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막상 GM대우차가 문을 닫자 앞으로 발생할 '후폭풍'에 곤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23개에 달하는 1차 협력업체도 줄줄이 문을 닫게 됐는데, 이 불똥이 또다시 수십여개에 이르는 2.3차 협력업체로 튈 경우 사태는 걷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군산시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더욱이 군산지역 수출의 70%를 차지하며 버팀목 역할을 해온 군산공장의 휴업으로 직원들의 수입이 줄면 소룡동을 비롯한 군산지역 슈퍼와 마트, 식당, 목욕탕 등 소점포의 막대한 타격이 예상된다.
군산시 관계자는 "1.2차 협력업체도 문제지만 지역 소규모 점포 등 밑바닥 경제가 완전히 얼어붙을 것"이라면서 "한 달 전만 해도 군산 이마트에 오후가 되면 대우차 작업복을 입은 사람들이 눈에 많이 띄었는데 최근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군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군산지역 경제에서 GM대우차 공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하청업체를 포함해 전반적인 경기가 더욱 위축될 것은 당연하다"며 "협력업체의 경우 힘들게 조업을 이어가는 곳도 있겠지만 대다수가 GM대우차 공장과 함께 생산을 멈추게 될 것"이라며 후유증을 우려했다.
이에 대해 GM대우차 군산공장 관계자는 "관리직은 연월차 휴가를 쓰고 현장 근로자는 노동부 고용유지부담금으로 임금의 70%를 받게 된다"면서 "실제 조업중단 일수는 8일밖에 되지 않고 생산량 조절 차원에서 잠시 멈추는 것일 뿐 회사가 극도로 어려운 상황에 처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