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수족구병 확산..증상 땐 병원 찾아야

발열.두통 1주일 이상이면 뇌수막염 일으킬 수도

전국 각지에서 수족구병(手足口)이 잇따라 발생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등 장내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되는 질환으로, 매년 4월께 생후 6개월에서 5살까지의 영유아들에게 주로 발생한다.

 

전염성이 강해 놀이방이나 유치원 등 보육시설에서 감염될 경우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번지게 된다.

 

수족구병의 증상은 동물의 구제역과 비슷한데, 3~5일 정도의 잠복기 뒤에 손바닥이나 손가락의 옆면, 발뒤꿈치나 엄지발가락의 옆면 곳곳에 수포가 생기며, 혀와볼 점막, 입안에도 물집과 궤양을 동반한다.

 

간혹 엉덩이와 사타구니에도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문제는 입속의 수포로, 생긴 후 단시간에 터지기 때문에 보통은 빨갛게 선이 둘려진 지름 5~6mm의 궤양으로 보이며, 이 상처로 아픔을 느끼는 아이가 밥을 못 먹는것은 물론 물을 마시지도 못해 심하면 탈수의 위험도 있다.

 

보통 미열이 동반되지만 환자의 20% 정도에서 38도 전후의 열이 이틀 정도 계속된다.

 

수족구병의 병원체인 장 바이러스는 입으로 들어와 장점막을 통해 혈액을 타고곳곳으로 돌아다니는데 피부에 침투하면 수족구병을, 뇌에 침투하면 뇌수막염을, 간에서는 간염을, 심장에서는 심근염을 각각 발병시키기도 한다.

 

고려대 안산병원소아청소년과 김윤경 교수는 "만약 1주일 넘게 발열, 두통 등이지속되고 목에 강직 현상까지 나타난다면 무균성 뇌수막염이나 뇌염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열감기 정도로 쉽게 지나간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이들 장바이러스가 날씨가 더워지기 시작하는 4월부터 유행해 6월까지 뇌수막염으로 전염되는 특성이 있다.

 

장마가 본격화되면 전염성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도 이 질환의 특징이다.

 

현재까지 이 병에 대한 예방백신은 개발되지 않은 만큼 ▲물을 끓여 먹고 ▲외출 후 소금물 양치를 하고 ▲손을 자주 깨끗이 씻으며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을피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예방법이 없다고 전문의들은 지적했다.

 

특히 놀이방이나 유아원에서 환자가 발생하면 집단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는만큼 환자가 발생하면 집에서 쉬도록 하면서 격리해야만 전파를 막을 수 있다.

 

아이들이 심한 고통을 호소하지 않아 발병한 상태에서 친구들과 놀다 보면 장난감과 분비물 등을 통해 전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브란스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김동수 교수는 "보통 수족구병은 날씨가 더워지는 4월에 시작해 5월 말부터 6월까지 뇌수막염으로 전염되는 특성이 있다"면서 "대개는 저절로 낫지만 뇌수막염으로 진전되면 위험한 만큼 가까운 소아과를 찾아야한다"고 말했다.

 

http://blog.yonhapnews.co.kr/scoopkim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북현대[CHAMP10N DAY] ⑤함께 울고 웃었던 전북현대 팬들이 준비한 선물은?

익산익산 왕궁농협, 종합청사 신축공사 안전기원제 개최

사건·사고리모델링 공사 중 건물 발코니 바닥 붕괴⋯ 작업자 1명 숨져

사건·사고경찰, 음주운전하다 SUV 들이받은 20대 조사 중

기획[우리 땅에 새겨 있는 역사의 흔적]화암사에 피어난 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