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산 농산물 보호·신뢰 얻는 기회…농민·소비자대상 홍보 중요
전국에서 처음 도입된 친환경농산물 소비자 인정제가 제대로 정착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소비자 인정제는 전북도의 지역농산물 보호정책에서 파생됐다.
전북도 육대수 친환경농업담당은 "최근 타자치단체에서 민간인증기관의 친환경농산물 인증이 부실 운영되는 등 소비자들의 신뢰가 하락되고 있는데다 대형마트 등의 잔류농약 자체검사가 부정확하게 드러나는 등의 사태로 친환경 농가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보다 철저한 인증과 배상(보험가입)문제 등을 깊숙히 검토했다"고 밝혔다.
실제 농림부가 사)미래농정연구원에 용역의뢰한 '친환경농산물 신뢰도 제고방안' 연구 조사에서 친환경농산물 신뢰도는 신뢰가 47%에 불과했고, 부산광역시에서 부산시유입 농산물 994건에 대한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21건에서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는 사례도 나왔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전북도는 대표적인 소비자단체인 소비자정보센터에 의뢰, 공신력을 확보하게 된 것.
이번 소비자 인정제는 소비자들이 직접 친환경 농산물의 현장 검증과 시료채취 등으로 제대로 된 지역 농산물을 보호하고,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한다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농산물이 생산된 후 유통과정서 변질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한 억제하고 대상농가들에 필요이상의 접촉으로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 가운데 철저한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 이 과정서 전문 요원들에 대한 훈련이 우선이다.
농가들에게는 '괜한 완장 하나 더 생긴 셈'이라는 피해의식을 주지 말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 소비자들에 대대적인 홍보활동도 필요하다.
"소비자 단체가 무너지면 더이상 신뢰는 없다"는 한 심사위원의 말처럼 주관단체의 엄밀한 사업 운용이 절실한 대목이다.
소비자정보센터 김보금소장은 "일부 타 자치단체에서 친환경 인증 농산물에 대한 부실사례가 발생하는 등 신뢰가 무너지고 있어 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다"면서 "철저한 심사로 소비자가 인정하는 마크를 도입해 전북산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차별화를 꾀하고 소비자와 지역농업을 똑같이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