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의 고장' 양보다 품질 우선돼야…업주·소비자 의식 바꾸고 공동찬기 도입 등 자구책을
전주시 우아동의 H음식점. 주 요리 이외에도 나물·김치 등 8가지의 반찬이 올라온다. 한 상에 4명이 앉으면 2개씩 놓는 만큼 반찬 그릇 수만 16개다. 지난해부터 2가지를 줄여서 이 정도다.
음식물을 재사용하지 않기 위해 반찬도 조금씩 놓지만 나물은 한 젓가락만 뜨면 없어지는 만큼 금새 '더 주세요'라는 소리와 함께 '이 집은 반찬을 병아리 눈꼽만큼 준다'라는 핀잔이 나온다.
음식점 주인인 최모씨(47)는 "전주에서 약 7년 동안 음식점을 운영했지만 '맛의 고장'이라는 이름에 따름인지 반찬 가지 수에 따라서 음식점에 대한 평이 갈라진다"면서 "돌·회갑 등의 단체 손님 예약을 받을 때면 먼저 묻는 질문이 '반찬 몇 가지나 나와요?'다"고 말했다. 이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남은 음식 재사용을 막기 위해서는 음식점 업주의 의식과 함께 소비자의 성향도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4일부터 잔반의 재사용을 금지하는 식품위생법 영업자 준수사항의 유예기간이 끝나고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갔다. 지난 4월3일 공포된 준수사항은 식품접객업 중 일반음식점·휴게음식점·단란주점·위탁급식·제과점 등에서 잔반을 재사용하면 1차로 15일 영업정지의 행정처분을 받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행정처분을 이행하지 않으면 최고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하도록 돼 있어 잔반 재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최근 전주시가 내놓은 자료에서는 지난 4월과 5월 하루 평균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공동주택 109t, 음식점 51t을 포함한 전체 단독 주택은 106t으로 나타났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비례제의 실시로 지난해 동기 대비 14.6%가 감소해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가 가시화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에 발맞춰 음식점의 자구책도 추진되고 있다. 한국음식업중앙회 전주시 덕진구 지부 관계자는 "관내 모범음식점을 중심으로 전주시로부터 70%의 지원을 받아 공동찬기를 도입할 예정이다"면서 "공동찬기가 정착되면 잔반 재사용 금지와 반찬 수 조절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전했다.
대한주부클럽연합회 전주·전북지회 유미옥 사무처장은 "반찬의 숫자가 아닌 질을 강조해야 한다"면서 "'잔반 싸 가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만큼 음식점에서도 신선한 반찬을 조금씩 내놓고 소비자도 이를 수용하는 문화가 자리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