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기준 지역현실과 동떨어져…신청자격 갖춘 업체 100곳 안팎
중소기업의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고 수출의 고부가가치화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2010년도 수출중소기업 글로벌 브랜드 육성사업'이 도내 중소기업에는 실효성 없는 사업이라는 지적이다. 지원 기준이 지역 현실과 동떨어져 도내 업체의 참여가 불투명한데도 제도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은 지난 6일 '2010년도 수출중소기업 글로벌 브랜드 육성사업'을 발표했다. 이 사업은 △수출액이 300만불 이상 또는 매출액이 200억원 이상이거나 △혁신형 기업(수출유망·벤처·이노비즈·경영혁신 등)으로 수출액 200만불 이상 또는 매출액이 100억원 이상인 제조업, 지식서비스업 및 제조 관련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브랜드 전략 컨설팅과 함께 브랜드 개발·해외 마케팅에 드는 비용의 50(6000만원 한도)~70%(1억원 한도)를 지원하는 내용으로 오는 15일까지 수출지원센터에서 접수한다.
지난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적으로 모두 203개사를 지원했지만 도내는 전무했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도내 중소업체가 신청하기에는 기준이 높아 대부분 수도권과 경상권에 집중된다는 것. 관계 기관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신청 자격을 갖춘 도내 업체는 100개 안팎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중 일부 업체는 매칭 방식에 따라 1000만원이 넘는 투자를 꺼려 도내에서 글로벌 브랜드 육성 사업이 유명무실한 상황은 올해도 반복될 전망이다.
유관 기관에서는 지역업체의 실정에 맞게 신청 대상의 조건을 완화하거나 기업의 부담금을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진흥공단 등의 관계자들은 "도내 대부분의 제조업이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 방식이고, 설령 지원 조건에 맞는 업체일지라도 일부는 글로벌 브랜드화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지원 기준을 완화하면 참여율이 다소 오를 것이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