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설탕값 성수기 6월께 인상 전망

한 자리수 예상…관련 물가 줄인상 우려

지난달 불거졌던 설탕 가격 인상안이 슬그머니 꼬리를 감췄지만 설탕 제조업체들은 수요가 몰리는 성수기에 맞춰 인상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관련 제품의 도미노 가격 상승이 우려된다. 제조업체가 '눈치보기' 뒤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인상 시기를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는 것.

 

업계에 따르면 현재 설탕 1㎏의 소비자 구입가는 지난해 8월 8.9% 인상된 뒤 1300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당초 지난달 인상안이 나왔다가 철회됐지만, 수요 압력이 큰 오는 6월께 한자리 수 인상안이 전망되고 있다.

 

설탕 제조업계는 지난달 10% 안팎의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그러나 당시 국제 원당 가격이 30% 가량 떨어졌고 지난 23일 대법원이 3대 설탕제조사에 답합을 이유로 모두 51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한 점, 그리고 설탕이 MB물가 52개 품목 중 하나인 점, 제과·제빵 등 다른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 등은 가격 인상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격 인상에 따른 소비자 저항이 거세고, 사재기 등 가수요만 몰릴 것이라는 것도 부담이다.

 

이에 따라 업계는 과실주 담그기 등 설탕 수요가 증가하는 6월 이후에나 한자릿수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제조사들은 가격을 올린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며 "인상 시기는 수요가 증가하는 6월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세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국회, 이 정부 첫 예산안 경제부처 심사 돌입…728조 놓고 여야 공방

정치일반지방선거 경선 시작도 안했는 데 ‘조기과열’···전북서 극심한 피로도

자치·의회전북도-캠코, 유휴 국유재산 자활사업 모델 부상

사회일반전북서 택시 기사 등 운전자 폭행 사건 꾸준

전주전주시 기업 유치 헛구호 그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