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융합연구회'결성 추진…중장기적 인프라 구축해야
21세기 글로벌 경제 체제 하에서 인터넷의 급격한 발전과 IT제품의 보급에 따라 기존 산업의 고유영역이 파괴되고 있다. 산업 간 기술융합이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 미래 산업의 성장동력 확보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 간 협력을 통한 기술과 산업의 융합이 필연적이다.
융합(Convergence)은 파급력이 강해 정치·경제·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변화와 혁신을 창출한다. 불과 몇 달 전 휴대전화·PC·인터넷과 온라인 상점을 결합한 애플의 아이폰이 IT강국 대한민국의 자존심을 흔들 줄은 몰랐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 통신기기 관련 시장은 아이폰의 영향 하에 스마트폰 위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삼성전자·LG전자 등 휴대폰 제조 글로벌 기업들도 새로운 스마트폰 출시와 활성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최근 상호보완적인 기업 간 기술협력 체제를 구축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자 노력하는 중소기업이 있다. 업종이 다른 중소기업이 각자 보유한 기술 등을 결합해 신기술·신제품을 개발, 새로운 분야의 사업화 능력을 높이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도내 중소기업인의 모임인 중소기업이업종전북연합회는 회원사를 대상으로 '기술융합연구회' 결성을 추진 중이다. 기존의 정보교류 활동에서 벗어나 중소기업청·중소기업진흥공단, 도내 20여 연구기관과 350여 회원기업이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 연구회를 통해 도내 4대 전략산업인 자동차부품·기계생물·신재생에너지 분야 등에 공동으로 기술융합과제를 발굴하고 각종 R&D사업과 연계해 고부가가치를 올리는 신제품개발과 신산업 또는 융합산업에 진출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러한 기술융합 제품과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소기업인이 기존 사업의 벽을 허물 수 있는 창조적 마인드를 갖추고 상호협력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더불어 법·제도의 정비도 필수적이다. 관련 법 규정의 미비와 인·허가 등으로 인해 개발된 제품이 상용화 되지 못한 경우도 있다. LG전자는 정보통신과 생명기술을 융합해 혈당측정·투약관리를 할 수 있는 '당뇨폰'을 개발했으나 의료법상 의료기기로 분류돼 각종 인·허가 부담으로 포기한 바 있다.
정부도 이러한 현실을 감안해 관련 법 제정을 서두르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지난달 말 산업융합촉진법을 제정하겠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기존의 법령을 조속히 정비하고 중복된 규제와 인·허가의 벽도 허물어야 한다.
법과 제도의 정비 외에도 기반을 조성하고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중장기적 융합시스템과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미국은 '인간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기술전략', EU는 '지식사회 건설을 위한 융합기술 발전전략' 등을 2000년대 초반에 수립해 추진 중이다.
중소기업 간 자발적인 기술융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R&D자금 등의 전폭적인 지원과 인센티브 제공도 필요하다. 기술융합 시너지를 제고할 수 있도록 기업과 대학·연구기관·지원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기술융합조직을 활성화해야 한다. 현재 중소기업청도 기술 융·복합지원센터 지정을 추진 중에 있다. 이 센터는 중소기업의 기술·지식의 융복합 추진에 필요한 정보제공·컨설팅지원·융복합 기술과제 발굴과 타당성 평가 등을 수행할 예정이어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1세기는 융합의 시대이다. 급속한 기술혁신과 경제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원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서로 다른 분야의 중소기업과 기술·지식·정보를 융합하고 집약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야말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쟁력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양해진(중소기업진흥공단 전북지역본부장)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