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병…삼계탕 등 성질 따뜻한 음식 도움
사계절의 구분이 뚜렷했던 과거와 달리 최근 우리나라는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해 언제부턴가 봄과 가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여름과 겨울이 길어져 더위를 견뎌야 하는 시간이 많아져 이에 따라 여름철 건강관리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지고 있다.
「동의보감」에는 요즘과 같은 늦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발생하여 여름철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 중 주하병(注夏病)이라는 병증이 있다. 주하병은 봄에서 여름으로 바뀌는 시기에 인체의 내부 정기가 계절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일종의 계절병이다. 이는 인체의 음기(陰氣)와 원기가 부족해져 발생하며 원기가 부족한 상태에서 고온으로 인해 땀구멍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땀을 지나치게 흘리는 상황이 나타나고, 또한 체질이 허약하고 소화기 기능이 약한 상태에서 더위 속에서 과로하게 되면 발생하게 된다.
주하병의 증상은 대표적으로 "몸에서 열이 나고 땀이 나면서 머리가 어지럽다, 숨이 차고 얼굴이 창백해지며 다리에 힘이 없다, 진액이 손상되어 갈증이 난다, 입이 마르고 입맛이 없다" 등이 있으며 증상이 봄, 여름에 심해지고 가을, 겨울에 약해지는 양상을 나타낸다. 이렇게 인체가 기후의 갑작스런 변화에 당황해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생기는 병증은 평소 기력이나 면역력이 떨어져 있던 경우가 많다.
주하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몸의 기운을 보충하면서 체내의 더운 기운을 잠재워주는 약을 복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삼, 맥문동, 오미자로 구성된 생맥산이라는 처방을 많이 사용한다. 생맥산은 폐의 기운을 북돋아 주는 인삼(人蔘), 폐열을 식히면서 진액을 보충해주는 맥문동(麥門冬), 흩어진 진액을 다시 수렴시키는 오미자(五味子)를 적절히 배합함으로써 여름철의 열사(熱邪)에 손상되어 나타날 수 있는 폐의 허약함, 원기의 부족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또한 환자의 병증에 따라 원기가 부족하거나 혈이 부족한 경우 생맥산에 기혈(氣血)을 보충해주는 약물이 가미된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삼귀익원탕(蔘歸益元湯) 등을 적용하기도 한다.
주하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여름철에 조금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도록 하며 잠이 부족하다면 시원한 곳에서 30분 정도 낮잠을 자는 것도 도움이 된다. 더울 때는 인체의 체온 조절을 위해 적절한 땀을 배출시키는 것이 좋으며 인삼, 삼계탕, 카레 등 성질이 따뜻한 음식으로 속을 데우고 적당히 땀을 내는 것이 좋다.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너무 강하게 틀고 있으면, 인체의 적응력이 떨어지게 되고 쉽게 질병에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좀 덥게 사는 것도 건강 유지의 비결이 될 수 있다. 수박, 토마토, 오이 등 제철 과일과 채소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여름철 부족한 진액을 보충해 주므로 주하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한 초여름은 아직 일교차가 심한 시기이므로 체온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감기에 걸리기가 쉬우므로 감기를 예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따라서 평소 면역력을 키우기 위해 충분한 영양섭취와 운동을 해두는 것이 좋다.
/김정환(우석대학교 전주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교수)
▲ 김정환 교수는
원광대한의과대학 졸업
한의학박사
한방재활의학과학회 정회원
척추신경추나의학회 정회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