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발전연구원 설문조사
로컬푸드(local food·지역농산물) 활성화의 관건은 생산자·소비자간 신뢰 형성으로 조사됐다. 소비자가 생산자를 믿을 수 있도록 제품 생산에서 소비까지 신뢰를 확보하는 유통경로가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20일 전북발전연구원 이민수 박사가 지난 3~6일 대형마트(하나로클럽)와 로컬푸드 직매장(완주 용진농협)을 이용하는 소비자 각 205명과 244명 등 모두 4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로컬푸드 원칙 가운데 응답자의 45.8%가 '생산자-소비자 신뢰 원칙'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22%는 농산물 유통단계 축소를, 14.6%는 친환경성을 중시했다. 반면 지역생산·지역소비는 11%, 농산물 이동거리 축소는 6.6%였다.
로컬푸드의 역할에 대해서는 '전혀 동의하지 않음'에서 '매우 동의함'까지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지역중소농의 새로운 판로·유통 대안이 평균 4.15점로 가장 높았다. 이어 △수입농산물 범람의 대안이 평균 3.90점 △대형 유통마트 중심의 유통에 대한 대안이 평균 3.87점이었다.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로컬푸드를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풀이됐다.
더불어 일반 식품에 비해 로컬푸드에 추가적으로 더 지불하고 싶은 가격은 응답자의 27.1%가 10%를 제시했다. 이어 응답자 25.3%가 10% 미만을, 20.3%가 가격의 20%를 더 부담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민수 박사는 "향후 로컬푸드의 가격을 결정할 때 소비자가 지불 가능한 가격을 반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박사는 이어 "로컬푸드 소비를 어렵게 하는 장애요인의 5점 척도 평가에서 판매장 부족이 평균 4.20점, 한정된 농산물의 종류가 평균 3.72점, 구매 정보 부족이 평균 3.64점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하며 "이를 해소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