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1만8000원 가량 줄어…전통시장 등으로 이동
대형마트 의무휴업 실시로 전통시장 및 전문매장을 찾는 발걸음이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시민네트워크 은행나무가 꿈꾸는 도시(오태일 상임대표)는 5일 전주 덕진동 전북여성문화회관에서 ‘대형마트 의무휴업 실시 2년! 향후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김재붕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학 교수는 “2012년 5~6월 소비자 가구의 월평균 대형마트 구입액은 10만834원으로 의무휴업이 이뤄지지 않던 전년 동월 대비 1만8195원(18%)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 감소분이 전통시장 9033원, SSM 8624원, 전문점 7037원 등으로 옮겨간 것으로 분석했다.
김 교수는 이어 “전주시민들을 대상으로 대형마트 규제에 대한 의견 청취를 실시한 결과 의무휴업 실시 전 대형유통점 이용고객이 57.10%에서 실시 후 4.5%가 감소한 반면 중소유통점 이용고객은 실시 전 42.90%에서 실시 후 4.85%가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분석했다.
전주시민의 의무휴업 찬성은 76.2%, 반대는 23.8%를 기록했고, 의무휴업 방법에 있어서도 특정요일 실시 59.6%, 대형점 자율실시 13.2%, 특정일자 실시 27.2%로 조사됐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대형마트의 편법적(일명 변종 SSM) 사업확장에 대한 정부차원의 실질적 규제가 필요하다”며 “전통시장 및 중소상인들의 자생력 강화를 위한 노력 또한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유통업을 포함하는 등의 정부 정책마련이 필요하다”며 “오는 2015년 11월23일까지 효력을 발생하는 전통시장 반경 1km내 입점제한 일몰 규정을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