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이용사 고 임종각씨 / 손자, 백방으로 노력 / 이인호 상사 등록 도움
“국가유공자로 인정됐다는 소식을 저 세상에 계신 할아버지께서도 들으셨다면 기뻐하셨을 겁니다.”
6·25 참전 상이용사 고 임종각씨가 손자와 한 부사관의 도움으로 60여년 만에 국가유공자로 인정 받았다.
1953년 고인(당시 26세)은 전투 중에 총상을 입고, 그 후유증으로 고통을 겪다 1960년 끝내 세상을 등졌다.
하지만 그는 상이용사임에도 국가유공자 등록이 되지 않은 탓에 그동안 가족들은 내내 속앓이를 했다.
이를 보다 못한 손자 임동찬씨(41)는 가족들의 한(恨)을 풀기 위해 백방으로 할아버지의 군 복무 기록을 찾았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그러던 중 지난해 5월 할머니의 농사일을 돕기 위해 부안에 들렀다가, 마침 그 자리에 있던 이인호 상사(37·육군 35사단 김제대대)를 만났다.
손자 임씨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이 상사에게 도움을 청했고, 이 상사는 흔쾌히 임씨의 부탁을 들어줬다.
임씨와 이 상사는 익산보훈지청, 육군기록물관리단, 부안 하서면사무소 등 관계기관의 문을 수차례 두드린 끝에 고인의 군 복무 기록을 천신만고 끝에 찾아냈다.
기록에는 ‘고인은 1952년 7월 제주지구 전투에서 왼쪽 팔에 관통상을 입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고 적혀 있었다. 이때부터 고인의 국가유공자 등록 작업은 급물살을 탔다. 수개월 간의 노력이 빛을 봤는지 고인은 지난 4월 18일 익산보훈지청으로부터 국가유공자 등록 통보를 받았다.
고인의 부인 김순녀씨는 “일찍 남편과 아들을 잃고 어렵게 살아오는 동안 힘든 일도 많았다”면서 “손자와 이 상사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그동안의 한이 풀린 것 같다”며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손자 임씨를 비롯해 가족들의 감사 인사에 이 상사는 “국가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이 합당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생각에 나섰다”며 “군인으로서 당연히 할 일을 했을 뿐이다”고 말했다.
한편 이 상사는 1996년 임관해 육군 35사단 김제대대 동원자원관리관으로 복무하고 있다. 그는 현재 향토방위를 책임지고 있는 예비군들의 교육 훈련에 힘쓰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