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2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 사상 초유의 1%대 기준금리 시대를 연 것을 두고 극명하게 엇갈리는 평가를 내렸다.
새누리당은 환영했다.
한국 경제가 디플레이션 함정에 빠질 우려가 커진 상황에 서 유일한 탈출구는 금리인하에 따른 내수경기 부양과 환율상승에 힘입은 수출경쟁력 회복이라는 기대에서다.
경기 침체가 길어질 경우 내년 총선을 장담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도 깔린 반응으로 보인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울산에서 현장 최고위원회를 주재하던 도중 금리인하 소식을 접하자 "환율과 직결되는 한은의 기준금리가 오늘 1.75%로 인하됐다.
사상 최초로 우리 기준금리가 1%대로 진입하게 됐다는 반가운 소식"이라고 반겼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심재철 의원은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전 세계적으로 '환율전쟁'이 벌어지는 환경에서 기축통화국이 아닌 우리나라는 금리인하 외에 대응할 수단이 없다"며 "가계부채 증가로 나타나는 마이너스 효과보다 경제활성화로 얻는 플러스 효과가 크다는 측면에서 적절한 조치"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