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선, 文 재신임투표 거둔 다음날 전격 탈당 / 23일 혁신위 '인적쇄신안' 발표 수위 시선 집중
일각에서는 새정치연합 현역 의원 첫 탈당이라는 신호탄을 계기로 다른 의원들의 추가 탈당까지 이어지리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어, 당분간 야권재편의 시계에 정치권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새정치연합 입장에서는 비록 예고된 탈당이지만, 문재인 대표가 재신임 투표를 거둬들이며 내홍을 봉합한지 하루만에 타격을 입은 셈이 됐다.
△ 박주선 탈당에 신당론 다시 공론화=
박 의원은 이날 애초 계획보다 하루 앞당겨 탈당을 결행했다. 여기에는 23일 예정된 혁신위의 추가 혁신안 발표가 예정된 점이나, 재신임 국면에서 비주류 진영이 제대로 힘을 쓰지 못한 점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선 이번 탈당이 야권의 신당 창당 움직임에 기폭제 역할을 하리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인적쇄신 예고 속 추가탈당설… ‘야권난립’시작되나=정치권에서는 박 의원을 신호탄으로 새정치연합 의원들의 집단 탈당이 이어지리라는 ‘엑서더스설’까지 떠돌며 흉흉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문 대표가 재신임 카드를 거둬들여 구심력을 강화하고 나섰지만, 박 의원의 탈당으로 효과가 반감된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23일 혁신위의 ‘마지막 혁신안’이 특정 인사들의 퇴진 요구도 포함할 정도로 핵폭탄급이 되리라는 소문이 돌면서 ‘탈당 도미노’의 촉매가 되리란 예상도 있다. 쇄신 대상으로 지목당한 인사들과 지지자의 이탈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野 주류 ‘무시전략’? 文 리더십 강화 ‘올인’=새정치연합내 주류진영과 비주류 진영의 이번 사태에 대한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린다. 주류측은 “추가이탈은 없을 것”이라며 큰 의미를 두지 않는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어차피 나갈 사람이었다”는 반응도 나온다.
강기정 의원은 “정치공학적 탈당”이라며 “호남주민들에게도 비전과 희망을 보여주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김기식 의원은 트위터에서 “박준영 신당, 천정배 신당에 이어 박주선 신당까지 (나왔다)”며 “정치권은 1인 정당이 유행”이라고 비판했다. 주류측은 그러면서 문 대표의 리더십을 강화해 사태를 정면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비주류, 文 리더십 비판…박지원 “떠나가는 당 안돼”=비주류 진영에서는 문 대표의 리더십에 대한 비판이 터져나와, 잠잠해진 내홍이 재점화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페이스북에 “정동영, 천정배, 박준영, 김민석, 박주선 등지도자들이 당을 떠나고 있다”며 “떠나는 당이 아니라 돌아오고 뭉치는 당이 돼야 한다. 문 대표의 통합과 단결의 새로운 리더십과 결단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