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양가 심사 논란 속 막대한 이자비용 누적 / 흥건·명지, 지분 처분
전주시 송천동 옛 35사단 부지에 추진되는 에코시티 개발사업이 건설업체들의 애물단지가 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전주 만성지구 골드클래스 분양가격이 3.3㎡당 810만원으로 결정되면서 전주지역 신규 아파트 고분양가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오는 26일 전주시분양가심사위원회가 태영건설과 포스코건설, GS건설이 추진하는 총 2746가구에 대한 분양가 심사를 할 예정이다.
그러나 심사위 관계자에 따르면 에코시티 3.3㎡당 부지가격이 만성지구 보다 저렴하고 실수요자들의 경제적 부담 등을 이유로 3.3㎡당 700만원 중후반대로 분양가 권고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혀 건설업체들의 기대치를 크게 밑돌 전망이다.
이에 따라 항공대대 이전 지연으로 사업추진이 늦여지면서 발생한 건설업체들의 막대한 금융이자 누적이 에코시티 개발사업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2006년 시작된 에코시티 개발사업은 애초 2013년 6월 말 준공 목표로 추진했으나 35사단 이전문제로 임실군과의 소송에 이어 항공대대 이전 문제로 시일이 늦어지면서 2020년 9월 말로 준공계획이 연기됐다.
이 때문에 에코시티에 투자한 건설사들이 막대한 금용비용으로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위해 금융권으로 부터 6500억원 대출약정을 체결했는데 사업추진이 지연지면서 그동안 1000억원의 이자를 지출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아직까지 항공대대 이전문제가 최종 마무리 되지 않고 있어 매월 20억원 가량의 추가부담이 누적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이번 사업에 참여했던 일부 지역업체는 자금부족으로 경영난에 시달리다가 보유지분을 처분하고 사업 참여를 포기했다.
당초 에코시티는 특수목적 법인을 설립하면서 태영건설, 포스코건설, GS건설, 한백종합건설, 명지종합건설, 부강건설, 성전건설, 상명건설, 흥건건설 등이 참여했으나 지역업체인 흥건건설과 명지종합건설이 자금난을 이기지 못하고 중도에 지분을 처분한 것이다.
그러나 심사위가 분양가 심사때 이들 건설업체들의 금융 손실비용 보전을 반영해줄리 만무해 향후 에코시티 개발사업이 어떻게 진행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