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9만 7114건…차량도 34만여건
경찰이 지난해 전북지역 인구 10명 중 1명꼴로 수배자 조회를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범인 검거를 위한 경찰의 고유 업무 차원의 수배자 조회가 이뤄진 것이지만 지나치게 많은 조회여서 도민들을 상대로 무분별한 조회가 이뤄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6일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가 전국 16개 지방경찰청에 청구해 제출받은 ‘수배자 및 수배차량 조회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 실시된 수배자 조회는 19만7114건, 수배차량 조회는 34만3021건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 인구가 186만9711명(2015년 12월 기준)인 점에 비춰보면 인구대비 수배자 조회는 10.5%에 해당된다.
지역별 인구대비 수배자 조회율은 인천이 55.3%로 가장 높았고, 부산(34.4%)과 강원(27.6%), 서울(24.6%)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제주(7.3%)는 수배자 조회율이 가장 낮았다.
지난해 도내 시·군별 수배자 및 수배차량 조회건수는 익산경찰서가 12만1910건(수배자 3만3653건·수배차량 8만8257건)으로 가장 많았다. 전북지방경찰청 10만4192건(수배자 4만318건·수배차량 6만3874건)과 군산경찰서 5만7401건(수배자 2만9215건·수배차량 2만8186건), 전주 덕진경찰서 5만5293건(수배자 2만7464건·수배차량 2만7829건) 등이 뒤를 이었다.
경찰은 교통위반자와 기초질서 위반자, 형사사건 피의자 등 수배자로 의심되는 사람과 차량에 대해서는 상시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와 PC 등을 통해 이름 및 생년월일을 조회해 수배자 검문을 실시하고 있다.
전북지방경찰청 정보화장비계 관계자는 “전북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수배자 조회가 비교적 낮은 지역에 속한다”며 “내부적으로도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무분별한 수배자 조회가 이뤄지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