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교차가 큰 환절기의 공기는 차고 건조하다. 찬 공기는 코와 기관지를 자극해 기침과 콧물 등의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며, 건조한 공기는 기도 점막을 건조하게 만들어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대한 정상적인 호흡기 방어능력을 떨어뜨린다. 또한 차고 건조한 공기는 기도 수축을 유발하기 때문에 천식이 있는 소아는 환절기에 천식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 조심해야 한다. 환절기 공기는 바이러스가 생존하고 활성화되는데 유리한 환경을 갖춰 다양한 호흡기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게 한다. 이로 인해 겨울동안 호흡기 질환에 수 차례 시달리는 소아가 많다.
다양한 호흡기 바이러스들은 감기, 인두염, 비염, 크룹, 기관지염, 모세 기관지염, 폐렴, 천식 등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킨다. 꾸준히 문제가 되는 바이러스에는 RS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있으며, 특히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있다. RS바이러스는 12개월 미만의 영아들에게 심한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는 모세 기관지염의 원인이며 고열, 천명, 호흡 곤란 등을 초래해 입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바이러스에 의한 크룹은 개 짖는 소리와 유사한 기침, 소위 ‘컹컹 기침’과 숨을 들이마실 때 이상한 소리가 나게 하며, 호흡 곤란이 생기는 후두 부위의 질환으로, 특히 밤에 증상이 심해져 겨울밤 응급실을 방문하게 만드는 꽤 흔한 질환이다. 라이노바이러스는 주로 경증 질환인 비염을 일으키지만, 천식을 악화시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기도 해 천식 환자는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일부 바이러스 감염은 폐렴을 일으키기도 하며, 초기 감염에 연이어 세균 감염이 합병될 수 있다. 초기에 감기 증상이 호전되었다가도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오래가면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호흡기 바이러스는 감기에 걸린 사람의 손이 닿은 물건을 만지거나 환자와 접촉 할 때, 환자의 분비물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될 때 코와 입 등의 점막을 통해 옮는다. 그러므로 독감과 같은 호흡기 질환이 유행할 때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은 되도록 피하고, 외출에서 돌아오면 얼굴과 손발을 깨끗하게 씻고 양치질을 하는 것이 좋다. 외출할 때에는 차고 건조한 겨울철 공기에 직접 닿지 않도록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충분한 영양섭취와 충분한 휴식을 통해 정신적·신체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너무 집에만 웅크리고 있는 것은 오히려 체력 저하를 초래 할 수 있으므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따뜻한 낮에는 외부활동을 하면서 햇볕을 쪼이는 것이 좋다.
감기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감기에 걸렸다면 안정을 취하고 양질의 식사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도록 한다. 실내 온도는 20~22℃ 정도, 실내 습도는 40~5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필요한 경우에는 가습기를 사용해 수분을 넉넉하게 공급해줘 호흡기 점막에 수분을 공급해 줌으로써 기도 점막의 건강을 유지하고 객담 배출을 촉진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그러나 너무 과하게 높은 습도는 곰팡이, 집먼지 진드기 등의 실내 흡입 알레르겐의 농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알레르기가 있는 천식 환자 가정에서는 주의해야 한다. 가습기를 청소하지 않고 수일 이상 사용하면 세균이나 곰팡이에 오염돼 호흡기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깨끗이 청소를 하면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가습기 세정제는 심각한 폐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소아와 노인, 만성 호흡기 질환자는 독감에 걸리기 쉽고 증상도 심하므로 독감 예방주사를 맞는 것을 권장한다. 적당한 접종 시기는 독감이 유행하기 2개월 전인 10~11월 경이지만, 시기를 놓쳤다고 하더라도 의사와 상의해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