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등 도내 100여대 보급 / 충전소 등 인프라 확충 관건
전주시를 비롯, 전북지역에서 전기자동차 구매비용의 절반을 지원하는 정책이 올해 처음으로 시행되면서 신청자들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전주시는 3년 내에 전기자동차 대수를 300대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인데, 지원액 상향과 충전소 확충 등 기본 인프라를 갖추는 것이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의 중요한 요소가 될 전망이다.
8일 환경부와 전주시 등에 따르면 올해 개인이 전기차를 살 때 정부가 지원하는 보조금은 지역에 상관없이 차량 1대 당 1400만원이다.
지방자치단체별로 지원 보조금은 각기 다르지만 전주시의 경우 8종(승용 7, 화물 1)의 전기자동차 구매비용 1대당 20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올해 처음으로 시행되는 전주시의 보조금 지원은 환경부 지원예산에 도비 180만원, 시비 480만원이 추가 책정돼 선착순으로 30대까지 지원하는 데 이날 현재 27대의 지원 신청이 이뤄졌다.
보편적인 전기자동차인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의 경우 차량가격이 4200만원대여서 지원을 받게되면 2200만원에 구입할 수 있는 셈이다.
군산과 정읍, 완주, 정읍, 남원 등 도내 타 지자체도 10대에서 20대까지 차량 구입비를 지원한다. 올해 전북의 지원대수는 100여대 정도다.
전북지역 지자체들의 대당 지원액수는 600만원 선으로 전국 평균 지자체 지원액 범위인 500~600만원 수준과 비슷하다.
그동안 전북지역은 지방재정 등의 이유로 아예 지방비 지원을 하지 않아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전기차 보급대수(57대)가 세종(25대)에 이어 최하위에 머물렀다.
그러나 올해 첫 지방비 지원이 이뤄지면서 보조금 지원 신청이 잇따르고 있는데, 전기차 충전소 등 인프라 확충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전주시의 경우 현재 시청 지하주차장 등 완속충전기 11개, 덕진공원 옆 주차장 등 급속충전기 4개를 포함 총 15개의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운영 중이며, 올해 8곳에 고가의 급속충전기를 설치한다는 계획이지만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개인주택 거주자들의 경우 환경공단에 보조금을 신청한 뒤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지만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경우 충전기 설치, 전기료, 공간 점용 문제 등이 해결과제로 남아 있는 상태다.
전주시 관계자는 “전주시의 경우 2020년까지 300대 보급을 목표로 전기자동차 활성화 정책을 세워 놓았다”며 “차량 지원뿐만 아닌 충전소 설치도 지속적으로 늘려 전기자동차 이용 보급률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