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개성공단 폐쇄 1년…전북 입주기업, 급한 불 껐지만 아직도 충격 남아

7곳 생산라인 정상화 속 높은 인건비 경영난 호소…재가동·보상비 확대 촉구

2월 10일은 개성공단 폐쇄가 1주년 되는 날이다.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도내 기업들은 애초 줄도산사태가 올 수도 있다는 우려와는 달리 생산라인 정상화로 급한 불은 끈 상태다. 그러나 이들은 아직까지 개성공단 폐쇄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지역에 본사를 두고 있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은 모두 7곳이다. 이들은 모두 제조업체로 1곳을 제외하고 대부분 의류를 생산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생산시설 확보를 위해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등지에 공장 확충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이는 자금사정이 그나마 나은 업체들의 이야기다. 규모가 영세한 도내 입주기업들은 ‘개성공단 재가동 및 피해보상 확대’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해외공장 신설은 막대한 자금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국내서 대체 생산을 하려해도 비싼 인건비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북지방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개성공단 입주 도내 7개 업체의 전체 물류 생산액 515억6200억 중 절반이상인 312억7700만원이 개성공단 생산액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그만큼 이들 업체들의 개성공단 의존도가 높았다는 의미다.

 

다행이 도내 기업 모두 국내에 생산라인이 같이 가동되고 있어 개성공단서 철수한 이후에도 영업중단 등은 피할 수 있었지만,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들은 납품이 중단되면 거래처가 끊길까 염려가 돼 개성공단에서 생산하던 제품을 무리해서라도 계속 생산해야 했다. 높아진 인건비에 불어난 생산 손실액도 크다.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입주기업당 평균 20억원 내외의 영업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공장서 생산을 계속하고 있는 기업들도 ‘메이드 인 코리아’를 선호하는 외국 소비자들의 성향 때문에 매출이 예전만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개성공단 기업 대표 대부분은 극심한 스트레스로 대외노출을 극도로 꺼릴 뿐 아니라 지원담당 공무원과의 접촉도 기피하고 있다.

 

전북도 기업지원과 관계자는“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들의 상심이 풀리지 않고 있는 것 같다”며“점점 우리가 연락을 취하는 것도 싫어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 A씨는 인터뷰 요청에“언론에 문제점을 아무리 토로해도 사태를 해결해야 할 사람들이 요지부동인데 무슨 말이 소용 있겠냐”고 탄식했다.

 

지난해 국민의당 정동영 의원(전주시 병)이 대표발의한 ‘개성공단 재가동 및 남북대화 촉구 결의안’은 정부와 여당의 반대로 불발됐다. 게다가 정부는 개성공단 폐쇄 1주년에 앞서 지난 7일 “개성공단 재가동 논의는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진정성 있는 변화가 선행돼야 가능할 것”이라며 기존의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다.

 

한편 국회가 최근 한국갤럽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개성공단 폐쇄 조치가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개선에 얼마나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75.9%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폐쇄 후 첫 명절 보낸 개성공단 입주기업들 "하루하루 경영 힘들어…직원들 급여 걱정"
김윤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국회·정당국회, 이 정부 첫 예산안 경제부처 심사 돌입…728조 놓고 여야 공방

정치일반지방선거 경선 시작도 안했는 데 ‘조기과열’···전북서 극심한 피로도

자치·의회전북도-캠코, 유휴 국유재산 자활사업 모델 부상

사회일반전북서 택시 기사 등 운전자 폭행 사건 꾸준

전주전주시 기업 유치 헛구호 그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