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부지 문의 없어…나머지 6개 필지는 인기 / 대형마트 계획 전주농협, 로컬푸드 매장으로 전환
전주시가 지난 18일부터 대형마트용 부지를 비롯한 에코시티내 상업용지들에 대한 공매에 나선 가운데, 공매 초기 부지들의 인기가 엇갈리는 형국이다. 엄격하게 창고형 할인매장 입점을 제한한 부지는 관심이 뜸한 반면, 다른 부지들은 문의전화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18일자로 에코시티내 상업용지 중 대형마트 부지인 1만2000여 ㎡(3600여평)를 비롯한 7개 상업용지에 대한 매각공고를 냈다.
전주시는 다음달 10일부터 5일 동안 입찰 신청을 받은 뒤 낙찰자가 결정되면 다음달 22일까지 매매계약을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매각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부지는 바로 대형마트 부지로 매각가는 288억원이다.
전주시는 지구단위계획을 변경해 이 부지의 주 용도를 ‘판매시설 중 대규모 점포’(대형마트)로, 불허용도를 ‘창고형 대규모 점포’로 바꿨다.
당초 이 부지는 농협 하나로마트와 다른 대형마트가 들어올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컸다.
전주농협(하나로마트)은 부지 매입에 관심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 입찰에는 참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농협 측은 내부 회의를 통해 이 부지 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다만 공고가 난 다른 6개 부지 중 1100㎡대 부지 2곳에 입찰해 로컬푸드 매장을 입점시킨다는 내부 계획을 세워놓았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여기에 국내 대형마트 업계의 문의전화도 없다는 것이 전주시의 설명이다. 신규 점포 개설은 자제하고 창고형 할인매장 진출 쪽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는데 에코시티 내에는 창고형 할인매장을 지을 수 없기 때문이다.
대형마트 부지와 달리 다른 6개 필지는 하루에도 10여 차례 넘는 문의전화가 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두 번째로 규모가 큰 부지(1만400여 ㎡)의 경우 정신·요양시설과 장례식장을 제외한 병원과 호텔 등 다양한 시설이 들어올 수 있어 문의가 잇따르고 있으며, 나머지 5개 부지 역시 투자자와 건축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주시 관계자는 “다른 용지들과 달리 대형마트 부지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은 사실”이라며 “대형마트 부지에 대한 입찰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경우 재공고 등 다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