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1%…은행 평균 3.04% 비해 높아
최저 국민은행 2.95%와 1.5%p 격차
주택금융공사 보증에도 제각각 적용
주택금융공사의 보증서를 담보로 전세자금을 대출할 때 은행마다 금리가 천차만별인 가운데 전북은행의 금리가 은행권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성남시 분당을)이 한국주택금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평균 금리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14개 은행의 평균금리는 3.04%로 였고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전북은행으로 4.41%에 달했다.
가장 낮은 곳은 국민은행으로 2.95%였으며 두 은행의 격차는 1.5%p로 국민은행에 비해 전북은행이 49.5%가 높았다.
2016년 이후 올해 8월까지 평균으로는 전북은행의 금리가 4.06%로 가장 높았고 하나은행이 2.94%로 가장 낮았다.
두 은행의 금리 격차는 1.1%p였으며 전북은행이 하나은행에 비해 38.1% 높았다.
은행권의 전세자금 대출 평균 금리는 2016년 2.87%에서 지난해 3.03%로, 올해 8월 기준 3.04%로 상승했다.
김병욱 의원은 주택금융공사에서 보증을 받은 전세자금 대출인데도 은행별로 차이가 나는 것은 각 은행마다 대출금리를 업무원가나 법정비용 등을 감안해 자율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은행별로 최고 50% 가까이 전세자금 대출금리 차이가 나는 것은 주택금융공사가 각 은행들이 전세자금 대출 금리를 결정하는 과정에 개입하지 않고 자체 홈페이지와 은행연합회 등에 각 은행별 평균 대출금리를 주별, 월별로 게시하는데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김병욱 의원은 “주택금융공사가 보증서를 발급함에도 은행별로 전세자금 대출금리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만큼 전세자금 대출 이용자들은 대출 신청 전에 꼭 은행별 금리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주택금융공사도 지나치게 높은 금리를 받는 은행에 대해 꼼꼼히 점검해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