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감 부족사태에 직면했던 현대중공업이 방위산업 입찰제한 족쇄가 풀린 가운데, 도내에서는 현대중공업의 ‘군산조선소 내년 재가동’약속이 지켜질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방산 관련 사업 입찰참여가 가능해지면서 방위사업청 등에서 발주한 군함 등 신규 수주에 청신호가 켜졌기 때문이다.
이 같은 소식에 지역에서는 수주량이 증가하면 군산조선소에도 블록을 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와함께 지역 정치권에서도 관심을 갖고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24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중앙지법은 현대중공업이 방위사업청을 대상으로 제기한 입찰참가 자격제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3년 한국수력원자력의 아랍에미리트 원전비리 사건과 연루돼 부정당업자로 지정되면서 2017년 12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국가사업 입찰을 제한받았다.
정부는 지난 4월 조선산업 발전전략의 하나로 올해부터 내년까지 5조5000억 원 규모의 공공선박 발주계획을 발표했다. 정부의 공공 선박 발주는 올해 방위사업청에서 군함 10척 이상(1조6278억 원), 해수부에서 순찰선 6척(221억 원)이 예정돼 있으며, 내년에는 방위사업청에서 군함 10척 이상(3조6971억 원), 해경 방제정 1척(746억 원), 해수부 순찰선 등 7척(1049억 원), 관세청 밀수감시정 3척(69억 원)을 발주할 예정이다.
현대중공업이 방산 관련 사업 입찰을 통해 정부의 공공 선박을 상당량 수주할 것으로 점쳐지면서 지역 내에서는 현대중공업이 군산조선소를 재가동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정부가 발주한 군용함선의 경우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도크에서 건조가 가능해 이미 수주한 일반 선박 물량을 군산조선소로 배정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앞서 전북 정치권과 전북도·군산시·군산상공회의소·도내 조선업계 등은 지난 8월 정부에서 발주하는 공공선박 입찰 등에 현대중공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입찰제한 기간을 유예해 줄 것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청와대와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각 정당에 전달하기도 했다.
또 강환구 현대중공업 사장이 약속한 대로 내년에 군산조선소가 재가동해 선박을 건조하기위해서는 도내 조선업계 생태계를 재건하기 위해 선박블록 물량을 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군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군산지역 사정은 현대중공업에서도 잘 알고 있다”면서 “현대중공업은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한 작업으로 선박블록 물량을 배정하고, 내년 재가동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군산과 전북경제를 살리기 위해 정치권을 비롯해 지역에서 한 목소리를 내야한다”고 덧붙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