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83% 최다 20대 60% 최저
응답자 69% 이직·퇴사 고민
불경기에 따른 기업 실적악화와 불안정한 고용형태 등으로 인해 직장인 10명 중 7명은 본인의 고용에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직장인 615명을 대상으로 ‘고용 불안감’에 대해 설문한 결과, 70.6%가 본인의 고용 상태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이는 사람인이 지난해 7월 조사한 결과보다 7.6% 상승한 수치다.
연령대별로는 40대(83.3%)가 가장 많았고 30대(74.9%), 50대(68.6%), 20대(60.7%)가 뒤를 이었다.
재직중인 기업 형태별로는 중소기업(71.8%), 중견기업(67.3%), 대기업(66.7%) 순으로 불안을 느끼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직무별로는 △광고·홍보(80%) △기획·전략(77.1%) △제조·생산(74.3%) △영업·영업관리(73.5%) △IT·정보통신(73.3%) 등 분야 종사자가 불안감을 많이 느낀 반면, △재무·회계(65.1%) △디자인(65.8%) △연구개발(66.7%) 등은 상대적으로 불안감을 가지는 비율이 적었다.
이들은 고용 불안감을 느끼는 이유로 ‘회사의 경영실적이 좋지 않아서’(37.1%, 복수응답), ‘회사 재정 상태가 좋지 않아서’(29%), ‘고용형태가 불안정해서’(25.8%), ‘회사의 평균 근속연수가 짧아서’(22.1%), ‘업무 성과가 떨어져서’(12.4%) 등을 들었다.
고용 불안감이 직장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이직 및 퇴사를 고민함’(69.6%, 복수응답)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업무 의욕이 떨어짐’(64.3%), ‘자기계발을 하게 됨’(27.6%), ‘업무 성과가 감소함’(15.9%), ‘야근 등을 늘림’(6.5%), ‘경쟁심이 늘어 동료와 거리가 멀어짐’(4.4%) 등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중 대다수는 고용 불안때문에 매우 심하거나(23%) 약간 심한(57.8%) 정도의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현재 직장에서 정년 퇴직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을까.
전체 응답자의 무려 84.9%가 현재 직장에서 정년까지 다니지 못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었다.
이들이 예상하는 현 직장 근무 가능 나이는 평균 40.9세로 집계됐다. 구간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35세 이하’(43.4%), ‘36~40세’(20.9%), ‘46~50세’(15.1%), ‘41~45세’(10.7%),‘51~55세’(6.5%) 등의 순이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