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상가 공실률 9.6%, 중대형상가 17%, 오피스 15.5%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세종시에 이어 전국 2번째
중대형 상가는 3번째, 오피스 경우 수가 많지 않음에도 전국평균 상회
전북지역 빈상가와 오피스가 넘쳐나면서 전국평균을 상회, 공실률이 전국 최고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감정원의 ‘2019년 1분기 전국 상업용 부동산 임대시장 동향 조사’자료에 따르면, 도내 소규모 상가(2층이하, 연면적 330제곱미터 이하)의 공실률은 9.6%로 전 분기 대비 0.2%p하락했다.
중대형상가(3층 이상 이거나 연면적 330제곱미터 초과)의 공실률은 17%로 전분기 대비 1.9%p늘었다.
오피스의 공실률은 15.5%로 같은 기간 0.4%p떨어졌다.
전북의 이 같은 공실률은 소규모 상가의 경우 전국 17개 시.도 중 세종 13.4%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비율이다.
중대형 상가의 경우 세종이 18.7%로 공실률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경북 17.4%, 전북 등의 순으로 3번째로 높았다.
오피스의 경우 공실률이 타 지역에 비해 높지는 않지만, 전북지역이 타지역보다 오피스에 비해 중.소형 상가가 많은 지역임을 감안할 때 전국 평균 보다 높은 것은 적은 공실률이 아니라는 분석이다.
1분기 전국 평균 공실률은 오피스는 12.4%, 중대형 상가 11.3%, 소규모 상가 5.3%였다.
한국 감정원은 전북의 경우 군산과 정읍 상권에서 조선업 등 제조업 부진, 인구감소에 따른 상권 부진 영향 등으로 소규모상가의 평균 공실률이 9.6%보였다고 분석했다.
특히 각종 경제적 악재로 직격탄을 맞은 군산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이 25.2%, 정읍 12.3%를 보이는 등 높았는데, 1년새 군산의 경우 3000명, 정읍의 경우 2000명의 가까운 인구 유출이 이뤄지면서 이같은 공실률을 보였다고 감정원은 설명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