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두 채 이상 가진 다주택자가 1년 새 7만3천명 늘어나 전국의 다주택자가 22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강남구 주택보유자의 22%는 집을 두 채 이상 가진 다주택자였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2018년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전국에 주택을 소유한 개인 1천401만명 가운데 주택 1채를 보유한 이들은 1천181만8천명(84.4%), 2채 이상 소유한 이들은 219만2천명(15.6%)이었다.
집을 2채 이상 가진 다주택자는 1년 전과 비교해 7만3천명(3.4%) 증가했다.
증가폭은 3년 만에 가장 작다. 전체 주택소유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1%포인트 늘었다.
주택을 5채 이상 가진 대량 소유자는 전년보다 2천명 늘어난 11만7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4채를 가진 이들은 7만4천명, 3채 보유자는 28만명, 2채 보유자는 172만1천명이었다.
5채 이상 보유자 가운데 3만8천명은 서울 거주자였고, 2만7천명은 경기 거주자였다.
전국에서 주택을 2채 이상 보유한 거주자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 강남구로21.7%에 달했다.
이어 서귀포시(20.9%), 세종시(20.6%), 서울 서초구(20.5%), 충남 당진시(20.4%), 충남 아산시(20.4%) 순이었다.
군 지역 중에서는 충남 서천군(26.9%), 전남 영광군(26.6%), 전북 고창군(24.6%) 등이 높았다.
◇ 전국 주택보유자 1천401만명, 전년보다 34만명 증가작년 11월 1일 기준 주택 보유자는 1천401만명으로, 2017년(1천367만명)보다34만명(2.5%) 증가했다.
주택보유자 중 여성의 비율은 44.4%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증가했다. 여성 주택보유자 비율은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다.
전체 인구를 기준으로 보면 남성은 31.3%, 여성은 24.8%가 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가 전체 주택보유자의 25.7%였다. 이어 40대 23.6%, 60대 18.8%, 30대 12.9%, 70대 11.1% 등의 순이었다. 40~50대가 전체 소유자의 절반(49.3%)을 차지했다.
전체 인구 대비 주택 보유율로는 60대가 46.0%로 가장 높고, 70대 45.4%, 50대 43.5% 순이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