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업체와 MOU 추진 중, 미국 등 해외 업체 가시권
중국업체 대체 사업계획서 군산시에 제출, 전북도 검토 단계
보완·수정 거쳐 산업부에서 수긍할 정도까지 진행할 계획
중국발(發) 여파로 난항을 겪던 ‘군산형 일자리’ 추진이 제자리를 찾을지 주목된다.
수개월째 지연된 군산형 일자리는 사업의 큰 축인 명신이 위탁생산하기로 한 중국 바이튼 사의 경영난에서 비롯됐다. 위탁생산에 차질이 생기자 군산형 일자리 추진에도 악영향이 미쳤고, 당초 군산형 일자리를 긍정적으로 지켜보던 산업부에서도 계속해서 사업계획 보완 및 수정을 지시했다.
이처럼 군산형 일자리 추진 문제가 난항을 겪는 가운데, 명신이 대체 사업을 마련해 계획서를 제출하면서 사업 재개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현재까지는 사업 추진에 대한 구체성은 없는 상황으로, 바이튼 사태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는 전북도와 군산시, 명신이 지금보다 더 긴밀한 소통과 공조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3일 전북도에 따르면 명신은 최근 군산시에 ‘바이튼 위탁생산 차질에 따른 대체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명신은 기존에 추진하던 바이튼 사의 엠바이트 위탁생산 이외에 국내외 전기차 업체와 위탁생산을 협의 중인 상황인데 5개 이상의 국내외 전기차 업체와 위탁생산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회사 1~2곳이 유력하게 거론되는 가운데, 명신 수뇌부가 미국 등을 오가며 협상을 진행 중이다.
앞서 바이튼의 경영난으로 불거진 후폭풍으로 인해 군산형 일자리 추진이 좌초될 우려까지 나왔으나 현재로서는 당초 예정보다는 늦춰지겠지만 재추진 가능성이 생겼다는 분위기다. 전북도와 군산시 등에 따르면 명신이 접촉한 1~2개 업체는 구체적 성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만일 MOU가 진행된다면 내년 하반기에는 위탁생산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군산형 일자리와 관련해서도 올해 안에 군산형 일자리 추진이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지만, 명신이 진행 중인 업체 선정 및 위탁생산 MOU가 무난히 이뤄진다면 군산형 일자리 선정 추진도 올해 안에 가능할 전망이다.
다만, 명신이 제출한 대체 사업계획서를 검토 중인 전북도에서는 현재까지는 사업에 대한 구체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있다. 당초 전북도는 대체 사업계획서를 받아 이달 내 산업부에 제출할 계획이었지만, 사업계획서 보완작업을 거쳐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후 수정·보완 작업을 거쳐 상생형 일자리 공모에 참여한다 해도 산자부 차원에서 또다시 보완 요구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공모 선정은 어렵다는 관측도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산업부에서 수긍할 수 있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완성도 높은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해 수정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도민께서 군산형 일자리 성공에 거는 기대가 큰 만큼 전북도와 군산시, 명신이 모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