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 중소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물류난이 1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지난 11일부터 18일까지 수출입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중소기업 수출전망 및 수출입 물류애로 실태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최근 지속되고 있는 수출입 물류난으로 애로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은 83.4%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상반기(6월) 73.4%에 비해 10%p 상승한 것이다.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해운·해상 운임 상승(83.7%)이 가장 컸으며 선적 시기 지연(65%), 컨테이너 부족(43.2%), 선복부족(41%) 순으로 조사됐다.
물류 상황이 심각하다고 느껴지는 항로에 대해서는 미주 서안(59.8%), 미주 동안(47.6%), 유럽(30.4%), 동남아(26.6%)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운 물류난 지속 예상 기간으로는 내년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이 87.6%로 가장 높았다. 이어 2023년 상반기까지는 21.4%로 나타나 87.6%가 최소 1년 이상 물류난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수출 중소기업 87.6%가 이번 물류난이 최소 1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정부의 단기적인 선복확보 및 운임 지원대책 외에도 장기적인 해운물류 안정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