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가자들, 대회 운영 전반에 불만 나타내
10㎞ 코스 안내 부족으로 8.5㎞만 달리기도
코스 설정·통제, 참가자와 소통 이뤄지지 않아
최근 개최됐던 제1회 전주마라톤대회가 운영 미숙 관련 논란을 겪고 있다.
10일 전북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전주마라톤대회는 민간단체인 전주마라톤대회 조직위원회(대회장 송진호)의 주최로 지난 7일 오전 8시께 전주시 덕진구 반월동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진행됐다. 5㎞ 코스 1200여 명, 10㎞ 코스 1800여 명 등 총 3000여 명이 대회에 참가했다.
대회가 끝난 후 마라톤 동호인 카페 등에선 전주마라톤대회 운영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들끓었다.
대회 참가자들은 기념품 수령을 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고, 코스 설정·통제 및 참가자와의 소통도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광주에서 이번 마라톤대회에 참여한 정진태(46) 씨는 “첫 대회라 그런지 운영 관련해 미숙한 부분이 꽤 있었다”며 “5㎞ 코스와 10㎞ 코스가 너무 겹칠 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경로가 많았고, 참가 인원에 비해 도로 폭도 좁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념품과 간식 분배도 여러 테이블로 나눠서 분배했으면 좋았을 텐데, 한 곳에서만 분배하다 보니 오래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또한 10㎞ 코스를 제대로 다 뛰지 못했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10㎞ 코스 참가자들은 당시 반환점 표시도 없었고 대회 직원의 코스 관련 안내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실제 10㎞ 코스에 참여한 여러 참가자가 1.5㎞ 남은 거리를 뛰지 못하고, 8.5㎞만 달린 채 마라톤을 마쳤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로 인해 마라톤에 참여했음에도 자신의 레이스 기록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참가자가 다수 발생했다.
10㎞ 코스와 관련해 지적된 문제는 마라톤 코스 변경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회 주최 측은 당초 호남제일문을 출발해 군산 벚꽃길까지 달리는 대회를 구상했다.
그러나 경찰에 따르면 호남제일문 앞 도로는 평소 교통량이 많고 시민 안전 우려가 커 마라톤 코스로 사용할 수 없었고, 대회 참가자들의 안전을 우려한 경찰은 주최 측에 여러 차례에 걸쳐 안전관리계획을 다시 작성하고 코스를 변경하라고 요구했다.
이후 주최 측은 안전 요원을 추가 배치하고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출발하는 현행 코스로 변경했다.
주최 측 관계자는 이러한 과정에서 변경된 마라톤 코스 교육과 숙지가 대회 진행 요원들에게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결과 10㎞ 코스 관련 문제점이 발생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번 대회를 주최한 전주마라톤대회 조직위원회는 제기된 운영 미숙 관련 지적을 인정하며 참가자들에게 사과하겠다고 밝혔다.
전주마라톤대회 조직위원회 관계자는 “조기 대선 등이 겹치며 원래 계획한 대회 계획이 변경됐고, 예상했던 것보다 많은 인원이 참가해 대회 운영에 미숙한 부분이 있었다”며 “또한 운영위원 부족 등으로 인해 코스 안내 부족과 장기간 대기 등 문제가 발생한 점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에는 대회를 진행하지 않을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