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산대, 지난해 '농식품 상표 및 디자인' 과목 신설 이후 과제전 실시
진혜련 교수 "6차 산업에 디자인 포함 불구, 정작 교육은 이뤄지지 않아"
진 교수, 소비 패턴 및 농업 경영 방식 변화 등 농식품 브랜딩 필요성 역설
연구기관 등 강점에도 전북만의 농식품 브랜드와 전문가 부재 아쉬움
"아무리 좋은 농산물을 생산해도 브랜드가 없으면 제값을 받기 어렵다. 디자인을 통해 100원짜리 오이를 1000원, 2000원에 팔 수 있다."
한국농수산대학교에서는 이달 12일부터 19일까지 '농수산업은 브랜딩이다!' 과제전이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는 '농식품 상표 및 디자인' 과목을 수강한 학생이 개발한 40여 점의 브랜드 작품을 선보이며, 단순한 학생 작품 발표를 넘어 농식품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학생들은 △스토리텔링 및 키워드 개발 △네이밍 개발 △폰트·컬러 설정 및 디자인 개발 △심볼·슬로건 디자인 개발 △브랜드 비전 △브랜드 가치 및 체계 △명함 디자인 개발 △유통 및 마케팅 방안 △향후 방향성 제시 등 브랜딩 개발부터 브랜딩 전략까지 전 과정을 담고 있다.
디자인 전공이 아님에도 학생들은 최신 트렌드에 맞는 브랜드를 만들어 냈고, 이번 과제전 작품 중 남원 출신 한 학생은 공모전에 출품해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3월 농수산대에 처음 개설된 이 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진혜련 교수는 "6차 산업에 디자인이 포함돼 있지만 정작 교육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농업인들이 브랜딩 지식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고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농식품 브랜딩은 단순히 이름을 만들고 포장을 예쁘게 하는 것이 아니다. 진 교수는 "브랜드는 이름과 로고, 폰트, 색 등 시각적 요소를 만드는 것"이라면서 "반면 브랜딩은 그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스토리텔링, 브랜드 비전과 가치, 마케팅 전략, 향후 방향성까지 전체 체계를 세우는 과정이다"고 설명했다.
그가 제시한 농식품 브랜딩이 필요한 이유는 첫째, 소비 패턴의 변화다. 소비자들이 마켓컬리, 쿠팡 등 온라인에서 농산물을 구매할 때 브랜드를 통해 원산지와 품질을 확인하려는 요구가 늘고 있다. 재래시장에서 쌓아놓고 파는 농산물로는 한 번 맛있게 먹었던 것을 다시 찾을 수 없다.
둘째, 농업 경영 방식의 변화다. 젊은 농업인들은 단순 1차 생산을 넘어 가공, 유통까지 아우르는 6차 산업을 통해 창업에 나서고 있다. 이때 충성고객과 지속구매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이 된다.
셋째, 부가가치 창출의 필요성이다. 현재 국내 농산물의 품질은 세계적 수준이지만 브랜드 경쟁력 부족으로 제값을 받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소비되는 버터나 유제품은 대부분 수입산인 반면, 국내 농가는 원유만 서울우유, 매일유업 등 대기업에 납품하는 현실이 이를 보여준다.
전북은 농식품 브랜딩 교육의 최적지다.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원 등 연구 기관이 집중돼 있고 전국 최고 수준의 쌀 생산량을 자랑한다.
하지만 이런 강점에도 불구하고 전북만의 독특한 농식품 브랜드를 창출하기 위한 교육은 부족한 상황이다. 농업과 디자인을 모두 아는 전문가도 찾기 어렵다.
전북의 풍부한 농업 자원을 브랜딩으로 연결하는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진 교수는 "청년 농업인들이 예산을 받아 사업을 할 때 사업계획서 작성부터 브랜드 개발까지 체계적인 지식이 요구된다"며 "일회성 교육이 아닌 입문-응용-심화 단계별 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