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 중소기업 96.7% 알리·테무·쉬인 등 중국 플랫폼 진출로 피해 호소
피해 경험 기업 중 79.0%는 대응 안해, 피해 대응 대비 비용과 노력 더 커
정부 지원책으로는 '해외직구 물품에 대한 인증·규제 의무화' 꼽아
 
   중국 e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중소기업들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별다른 대응책 없이 피해를 감수하고 있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 30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국 e커머스 플랫폼 국내 진출 대응 중소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 e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진출로 인해 피해를 경험한 중소기업은 96.7%에 달했다. '피해 경험이 거의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3.3%에 불과했다.
가장 큰 피해로는 '중국발 저가·면세 제품 유입에 따른 가격 경쟁력 저하'가 59.0%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지식재산권 침해 및 유사·모조품 유통'(17.0%), '해외직구 제품의 불법 재판매로 인한 국내시장 교란'(16.0%) 순이었다.
그러나 피해를 경험한 기업 중 79.0%는 '특별히 대응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피해 금액 대비 대응에 드는 비용과 노력이 더 크다고 생각해서'(35.4%)가 가장 많았고, '피해 사실 입증이나 관련 자료 수집의 어려움'(27.4%), '관련 기관 정보 부족'(15.6%) 등이 뒤를 이었다.
중국 e커머스 플랫폼으로 인한 실제 매출 감소도 상당했다. 전체 응답 기업 중 33.3%가 실제 매출 감소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특히 매출액 10억 원 미만 소규모 기업에서는 47.6%가 매출 감소를 경험했으며, 이 중 8.5%는 50% 이상의 매출 하락을 겪었다.
대응 전략 면에서도 56.0%의 기업이 '특별한 대응 전략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신제품 개발 등 제품 차별화'(21.3%), '가격 인하'(9.3%) 등의 전략을 제시한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중소기업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부 지원책으로는 '해외직구 물품에 대한 인증·규제 의무화'(48.7%)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해외직구 물품의 불법 재판매 단속 강화'(42.0%), '지식재산권 침해 대응 등 관련사업 확대'(32.7%) 순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