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6 14:15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정치일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성공단에 8월 중 설치

남북 당국자가 상주하며 교류협력 방안을 논의할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개성공단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 건물에 8월 중 설치하는 방향으로 윤곽이 잡히고 있다. 천해성 통일부 차관은 21일 오전 서울의 한 호텔에서 열린 남북물류포럼 조찬강연에서 공동연락사무소 설치 장소와 관련, “종합지원센터 바로 앞에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가 있다”면서 “개보수해서 거기에 설치하는 것으로 남북 간에 (의견) 일치를 봤다”고 말했다. 당초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에서 이름이 바뀐 교류협력협의사무소는 2005년 개성공단 내에 설치됐다가 2010년 5·24조치에 대한 북한의 반발로 폐쇄됐다. 4층짜리 건물로 폐쇄 이전까지 2층에 남측, 4층에 북측 당국자가 10여 명씩 상주하며 주로 경협과 관련한 협의를 진행했었다. 이 건물은 지난 8일 현장점검 결과, 지하층 침수와 벽면 누수, 유리 파손 등이 발견돼 지난 19일부터 물빼기 작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이르면 다음 주부터 본격적인 개보수 작업을 진행해 8월 중순 이전에 교류협력협의사무소에 공동연락사무소를 연다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연락사무소를 이른 시일 내에 개소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면서도 “개소 시점은 북측과 협의가 필요하며 단정 짓기 어렵다”고 말했다. 남북은 애초 개보수 공사로 우리측 당국자가 개성공단에 상주하기 시작하면 이에 맞춰 임시 공동연락사무소를 여는 방안을 협의했지만, 이는 백지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임시 공동연락사무소로 명명하려면 북측 인원들도 여기에 상주해야 하는데 이 부분이 여의치 않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공동연락사무소의 개성지역 설치는 남북 정상이 지난 4월 27일 ‘판문점 선언’을 통해 합의한 사항이다. 연합뉴스

  • 정치일반
  • 연합
  • 2018.06.21 20:57

문재인 대통령 러시아 국빈 방문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러시아 모스크바에 도착,러시아 국빈 방문 일정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이번 국빈 방문은 1999년 김대중 당시 대통령 이후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19년 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작년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 참석차 러시아를 방문한 적이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첫 일정으로 러시아 하원을 방문해 하원의장과 주요 정당 대표를 면담한다. 이어 한국 대통령으로는 사상 최초로 러시아 하원에서 연설한 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총리를 면담한다. 또한 방러 이틀째인 22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세 번째 정상회담을 한다. 문 대통령은 작년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9월 동방경제포럼에서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방러 마지막 날인 23일에는 로스토프나도누로 이동, 2018 월드컵 한국-멕시코 조별 예선전을 관람하며 한국 선수단을 격려할 계획이다. 이번 국빈 방문에서 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를 통한 한반도의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러시아와의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427 판문점선언과 613 북미 공동성명이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러시아의 역할을 당부할 것으로 관측된다. 문 대통령은 방러에 앞서 전날 러시아 공영통신사 타스 통신 등과 가진 언론 합동인터뷰에서 한반도 평화체제가 확대돼 동북아 다자평화안보체제, 유라시아 공동번영평화 체제를 이뤄야 한다며 한국과 러시아는 가장 중요한 협력 파트너가 될수 있고, 또 그렇게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 정치일반
  • 연합
  • 2018.06.21 20:57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