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5 07:48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건·사고

전북대 총장선거, 정치권 개입 의혹

전북대학교 총장 선거에 정치권이 개입했다는 주장이 나와 파문이 일고 있다. 최근 전북대 총장 선거에 개입한 혐의(교육공무원법상 허위사실 유포 및 명예훼손)로 기소된 정모 교수(63)는 29일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경찰을 끌어들인 주범은 따로 있다면서 민주평화당의 고위 당직자가 꾸몄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에 따르면 민평당 고위당직자와 지난해 총장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 A교수는 절친한 사이다. 이들은 사전에 이남호 전 총장에 대한 조사가 시작되면 선거결과를 뒤바꿀 수 있다는 취지로 뜻을 모으고 경찰청 소속 김모 경감에게 확인되지 않은 비위행위를 전달했다. 이러한 경로로 김 경감은 정 교수 등 다수의 교수를 접촉했다는 내용이다. 정 교수는 그들은(민평당 고위당직자와 A교수) 나에게 문제가 생기면 내가 책임지겠다고 이야기 했다면서 또한 수사가 시작되자 휴대전화를 분실처리하라고 지시했다고 폭로했다. 이같은 사실을 그동안 수사기관 조사과정에서 진술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그들이 나에게 끝까지 의리를 지켜달라고 해서 그랬다면서도 수사가 마무리되면서 나는 기소됐지만 그들은 모두 빠져나간 상태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이날 이러한 내용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하려했지만 돌연 취소했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민평당의 고위 당직자는 나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건이라며 내용도 모르고 거론된 인물들도 모른다. 검경의 조사를 받은 적도 없다고 반박했다. 전북대 총장선거 관련 내용을 경찰에 고발했던 장준갑 전북대 교수 등 40여명은 이날 오전 대학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경은 이번 선거에 직접 이해관계를 가진 총장 후보자나 교수회 회장 등 핵심 관련자들은 제외한 채 특정 후보의 참모에 불과한 교수들만 처벌하는 등 도무지 납득할 수 없는 수사결과를 발표했다면서 이번 선거개입 사건을 주도한 것으로 의심되고 있는 인물에 대해서도 제대로 된 수사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대상자들 중 일부가 증거인멸을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증거 불충분이란 이유로 사법처리 대상에서 제외했다면서 증거를 인멸한 행위는 자신들의 범죄를 스스로 자인하는 것임에도 증거를 없앴으니 처벌하지 않겠다고 한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이 사건의 몸통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면서 아직도 범죄혐의가 규명되지 않은 교수, 또는 교수들과 경찰관 사이의 공모관계와 이를 주동한 핵심인물에 대한 진실이 밝혀져야 한다며 앞으로도 진실을 밝히기 위해 국민권익위에 진정을 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전주지방검찰청은 지난 26일 정 교수와 전 전북대 교수 B씨(73)를 불구속 기소했다. 당시 총장 후보자 등 교수 3명에 대해서는 무혐의 처분했다. 이 중 일부 관련자의 휴대전화 기록이 사건조사 무렵 삭제되거나 휴대전화가 교체된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 관계자는 해당 사건 혐의 입증을 위해선 피의자들이 나눈 대화 내용이 중요하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사건에 연루된 교수와 경찰관 모두 선거 전후로 휴대전화를 분실했다면서 수사 선상에 오른 다른 2명은 총장 선거 전후의 문자메시지를 삭제했고 삭제된 문자의 복구에 실패했다. 디가우징(자기장 이용한 데이터 삭제)이 의심된다고 설명했다.

  • 사건·사고
  • 최정규
  • 2019.04.29 20:44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