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명예퇴직 희망 교원 크게 줄었다
내년 명예퇴직을 희망하는 전북지역 초중등 교원 수가 올해의 3분의 1 수준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23일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9월 초 수요조사 결과 초등 49명, 중등 공립 104명, 중등 사립 97명, 교육전문직 1명 등 총 251명이 명예퇴직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들 중 내년 2월 말 퇴직을 희망하는 교원은 225명이었고, 26명은 8월 말 퇴직을 원했다. 도교육청은 수요조사 결과에 따라 내년도 본예산안에 207명 기준 194억3888만원을 편성했다.아직 실제 명예퇴직 희망자 접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의 가수요에 해당하는 결과지만, 지난해와 올해의 상황과 비교했을 때 크게 감소한 수치다.지난 2013년 12월에 접수가 이뤄진 지난해 2월 말 명예퇴직 신청자는 246명이었고, 퇴직 수용인원도 246명 전원이었다.그러나 이후 공무원 연금제도 개편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면서 명퇴 신청자 수가 급증하기 시작했다.통상 8월 말 퇴직 신청자 수는 2월 말 퇴직 신청자에 비해 크게 적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난해 8월 말 퇴직 신청자가 326명이었고, 이 중 113명의 퇴직이 받아들여졌다. 수용률은 34.7%였다. 2월 신청자와 8월 신청자를 합하면 지난해 명퇴 신청자는 총 572명이었다.올해는 수요가 더욱 늘어서, 올 2월 퇴직 신청자 수는 559명이었고, 8월 퇴직 신청자는 170명이었다. 총 729명 중 실제 퇴직 수용인원은 437명이었으며, 이들의 명퇴 수당을 감당하기 위해 도교육청은 545억원어치의 지방채를 발행했지만, 수용률은 59.9% 수준에 불과했다.그러나 내년 2월 퇴직 희망자가 22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총 269명이 퇴직한 지난 2013년의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시작된 이른바 명퇴 대란이 사실상 종결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이는 우선 그간 뜨거운 감자였던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이 확정되고 내년 1월 시행을 앞둔 상태여서, 교원사회 내에서 더는 새로운 악재가 아니라는 분석 때문이다.이와 함께 지난해 8월에 113명, 올 2월에 376명 등 대규모 명예퇴직이 연달아 이어지면서, 실질적으로 나갈 사람은 다 나간 상태가 된 것도 명퇴 수요 급감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그러나 도교육청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교단의 어려움이나 건강상의 이유로 명예퇴직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혀, 앞으로의 추이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한편 도교육청은 내달 21일부터 23일까지 내년 2월 말 명예퇴직 신청을 접수할 계획이라고 지난 17일 공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