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얀 하츠 미그로 기업개발 부사장 "신뢰·고품질로 승부…조합원들 자부심 대단"

"미그로는 생산자와 오랫동안 거래한 신뢰가 쌓였기 때문에 중간 과정에서 다른 대기업이 끼어들 여지가 없습니다. 소비자는 양질의 제품을 적정한 가격에 구입하고 조합원은 미그로 조합원이라는 자부심을 지닙니다."

 

스위스 취리히 림마트 거리(Limmat-

 

strasse) 미그로 본사에서 만난 얀 하츠(Jann J. Hatz) 기업개발 부사장(Leiter

 

Corporate Development, 45)은 미그로가 자국 소매시장의 중심이 된 이유로 "스위스는 외제가 들어오기 어려운 나라다. 쿼터나 관세를 높게 하는 한편 국민도 자국산을 우선으로 쓰는 풍토가 정착됐다"며 "우리는 국내 시장에서 최대한 상품을 조달하고 질 좋은 생산품을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하츠 씨는 "미그로는 조합원과의 신뢰를 중요시한다. 미그로 이용자들은 미그로 매거진이라는 주간 신문을 통해 상품 정보와 쿠폰을 제공받는다"면서 "조합원과 비조합원의 차이는 투표권과 로열티 프로그램이라는 적립 카드다. 조합원이 되면 1년에 한 번 임원을 뽑을 수 있다. 대가는 초콜릿 1개지만 그 자체가 자부심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 시장 점유율이 낮아지는 것은 미그로의 고민이다. 하츠 씨는 "후발주자인 쿱과 독일 슈퍼마켓 체인기업으로 저가공세를 펴는 알디(ALDI)가 경쟁업체로 떠올랐다"면서 "환율로 인해 스위스 내 가격이 상대적으로 올라 국경 가까이에 있는 소비자는 물가가 저렴한 곳으로 장을 보기도 한다. 또한 10개 협동조합을 줄일지 늘일지 규모 조정도 과제다"고 전했다.

이세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경제일반[주간증시전망] 기존 주도주 비중 확대나 소외 업종 저가 매수가 바람직

군산한국건설기계연구원, 미래 건설기계 혁신·신산업 육성 앞장

오피니언[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오피니언[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