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행락철 교통사고 '주의보' (상) 실태] '났다 하면 대형' 4·5월 버스사고 빈번

전방주시 태만 주 원인 / 오후 4~6시 발생 많아

행락철을 맞아 수학여행 및 상춘객 등 여행객들이 증가하면서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예상된다. 이 시기에는 장거리 운행이나 졸음운전 등 위험요인이 증가하면서 대형교통사고의 위험이 상존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산악동호회 등 봄꽃 구경을 즐기는 행락객이 들뜬 분위기에 술을 마시고 운전대를 잡는 일이 종종 빚어지면서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보는 행락철 대형교통사고 및 음주·졸음운전 실태 및 예방법 등에 대해 두 차례에 걸쳐 알아본다.

 

지난해 3월 31일 대전-통영간 고속도로 하행선 173㎞ 지점(무주)에서 A고속버스가 엔진과열로 갓길에 정차해있던 B시외버스를 충격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어 A고속버스를 뒤따르던 C시외버스가 들이받았다. 연이어 발생한 사고는 운전자들의 전방주시태만이 원인이었으며, 이 사고로 운전자와 승객 등 모두 5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또 같은 해 4월 13일에는 서해안고속도로 상행선 74.7㎞ 지점(고창)에서 버스 등 대형교통사고가 발생해 23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처럼 여행객들이 증가하는 봄 행락철에는 운전자들의 부주위로 인한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더욱이 버스 등으로 인한 대형교통사고는 큰 인명피해로 이어지고 있어 운전자들의 안전운행 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7일 전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대형버스교통사고는 모두 663건이 발생했다. 이중 행락객들이 증가하는 4~5월에 113건(17%)이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지난해 전체 발생한 대형버스교통사고 177건 가운데 4~5월에만 39건(22%)이 발생했으며, 2012년(202건)에는 28건(13.8%)이, 2011년(285건)에도 46건(16.1%)이 같은 시기에 집중됐다.

 

원인별로는 전방주시태만, 운전미숙, 시설불량, 차량결함 등의 순이었으며, 시간대별로는 오후 4시~6시가 가장 많이 발생했고, 오전 7시~9시, 오후 6시~8시 등이었다.

 

이처럼 버스 등 대형교통사고는 졸음운전, 차내 가무행위, 대열운행, 안전띠 미착용 등 안전불감증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에 경찰은 대형사고 요인별 법규위반 행위에 대해 집중단속에 나선다.

 

고속도로 톨게이트와 휴게소에서 안전띠 미착용 및 차량 내 음주가무 방치 등 주요 교통법규위반행위에 대한 계도·단속에 나서며, 수학여행 등 차량이동시간을 파악해 출발 전 운전자의 음주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단체이동차량 발견 시 안전거리 확보 유도 및 대열운행을 금지시키며, 자치단체, 유관기관 등과 합동단속반을 구성해 불법 구조변경에 대해 단속할 예정이다.

 

이후신 전북청 교통안전계장은 “행락철 들뜬 분위기에 편승해 운전자나 승객들의 안전불감증으로 대형교통사고가 발생한다”면서 “특히 버스 등 대형교통사고는 큰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안전운행이 우선이다”고 강조했다.

 

이 계장은 이어 “운전자나 승객 모두 교통법규를 준수해 즐겁고 안전한 행락철이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행락철 교통사고 '주의보' (하) 음주·졸음운전 실태
강정원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학·출판전주문인협회 ‘다시 읽는 나의 대표작’

문학·출판교육 실종 시대에 던지는 질문, 신정일 ‘언제 어디서나 배웠다’

교육일반전북교육청, ‘깜깜이 5급 승진’ 의혹 해소 촉구

건설·부동산전북 상업용 부동산, 임대 정체에 수익률도 전국 하위권

경제김민호 엠에이치소프트 대표 “우리는 지금 인공지능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