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지수는 전주 대비 2.50%(55.28포인트) 오른 2268.40포인트에 거래를 마감했고, 코스닥 지수는 1.95% 상승한 687.63포인트로 마감했다.
수급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조187억원과 1조458억원을 순매수했고, 개인은 2조853억원을 순매도했다.
지난주 지수가 반등에 성공했다.
추세 전환보다는 기술적 반등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증시의 반등세는 연준의 피봇 기대에 따른 기술적 반등 구간이라고 보인다.
이번주는 주요 이벤트는 다음 달 3일 예정된 11월 FOMC일정이다.
이미 11월 75베이시스포인트 금리인상은 기정사실화된 상황에서 파월 연준의장의 발언이 중요해질 전망이다.
속도조절에 대한 언급이 있을 경우 증시 반등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1월 FOMC 회의 이후 12월 FOMC 금리인상 확률 변화가 글로벌 증시의 단기 방향성을 결정지을 것으로 보여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측에서는 오히려 소비를 조장하는 등 경기 부양 이미지를 만드는 것에 증시에 충격을 줄 만한 내용은 없을 가능성이 높아 보여진다.
오히려 4일 발표되는 미국의 10월 고용지표에 대한 시장 반응을 주시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경제지표 부진, 금리인상 속도조절 가시화로 이어지면서 국내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 기술적 반등이 더 이어질 것으로 보이고, 업종별로는 외국인투자자들의 자금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는 업종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보험, IT가전, 비철금속, IT하드웨어, 유통업종에 매수세가 두드려져 보여 관심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